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goal_trans기아 종식, 식량안보 달성, 영양상태 개선과 지속가능한 농업 강화

2.1
2030년까지 기아를 종식시키고 모든 사람, 특히 영·유아를 포함한 빈곤층 및 취약계층이 안전하고 영양가 있으며 충분한 식량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
2.1.1

영양부족인구 비율

이용가능
2.1.2

식량불안경험척도(FIES) 기준으로 중간 또는 심각한 수준의 식량불안 경험인구 비율

이용가능
2.2
2025년까지 5세 미만의 발육부진 및 쇠약에 관한 국제 목표 달성을 포함하여 2030년까지 모든 형태의 영양 부족을 종식시키고 여성 청소년, 임산부, 수유여성 및 노년층의 영양상태 개선
2.2.1

5세 미만 발육부진 아동 비율

이용가능
2.2.2

5세 미만 영양불량 아동 비율(저체중 및 과체중별)

이용가능
2.2.3

15-49세 여성 빈혈 유병률(임신여부별)

이용가능
2.2.4

인구집단별 (생후 6~23.9개월 영유아 및 15-49세 비임신 여성) 최소 식이 다양성 충족률

데이터 수집중
2.3
2030년까지 토지 및 기타 생산자원과 투입요소, 지식, 금융서비스, 시장 및 부가가치 창출과 비농업부문 고용 기회에 대한 안전하고 동등한 접근을 통해 소규모 식량생산자, 특히 여성, 토착민, 가족농, 목축업자 및 어민의 농업 생산성과 소득을 두 배로 증가
2.3.1

노동 단위당 생산량(농림축산업 생산규모별)

이용가능
2.3.2

소규모 식량생산자 평균소득(성 및 원주민여부별)

이용가능
2.4
2030년까지 생산성과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생태계 유지에 도움이 되며 기후변화, 기상 이변, 가문, 홍수 및 기타 자연재해에 대한 적응력을 강화하고 토지와 토양의 질을 점진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는 지속가능한 식량생산체계를 보장하며, 회복력 있는 농업 관행을 이행
2.4.1

생산적이고 지속가능한 농지면적 비율

데이터 수집중
2.5
2020년까지 국가적, 지역적, 국제적 차원에서 건전하게 관리되고 다변화된 종자 및 식물은행 등을 통해 종자, 재배식물, 가축과 사육동물 및 관련 야생종의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고, 국제적으로 합의된 바와 같이 유전자원과 관련 전통지식의 이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익의 공정하고 공평한 분배에 대한 접근을 개선
2.5.1

중장기 보존 시설에 확보된 식량 및 농업용 동식물 유전자원의 수

이용가능
2.5.2

멸종위험으로 분류된 지역 및 초국경 품종의 비율

이용가능
2.a
개도국 특히, 최빈개도국의 농업 생산역량 강화를 위해 국제협력 증진을 통해 농촌 지역 사회기반시설, 농업 연구 및 지원 서비스, 기술 개발, 식물 및 가축 유전자은행에 대한 투자 확대
2.a.1

농업지향지수

이용가능
2.a.2

농업부문 총 공적지원(ODA와 기타 공적지원)

데이터 수집중
2.b
도하개발라운드에 따른 농산품 보조금 철폐를 포함하여 세계농업시장에서의 무역규제 및 왜곡 시정
2.b.1

농업수출보조금

이용가능
2.c
지나친 식품가격 변동성 제어에 도움이 되도록 식품상품 시장의 정상적인 기능을 위한 조치 채택
2.c.1

식품가격이상지표

이용가능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