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발전지표 체계 구축의 의의
국가발전지표는 국가발전의 주요 분야에 대해 합리적으로 분류체계를 작성하고, 분야별로 핵심지표를 엄선하여 구축한 지표체계입니다. 국가발전 상황을 점검하고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단일지표보다는 경제, 사회, 환경 등 다양한 지표로 구성된 지표체계를 통해 균형 있게 판단하려는 세계적 흐름에 부응하여 구축되었습니다.
지표선정
국가발전지표는 수요자 관점에서 객관적으로 지표가 구축될 수 있도록 민간 연구진 주도로 각계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또한 가급적 아래에 해당되는 지표가 포함되도록 체계를 구축하였습니다.
분류체계
· 투입(input)이 아닌 성과(output) 중심의 지표
· 국가발전과 국민의 웰빙, 지속가능성을 포괄하는 지표
· 방향성(national progress)이 분명한 지표
· 정책적 노력으로 변화 가능한 지표
지표 서비스 구성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래프 형태로 제공되며, 지표의 정의, 해설, 통계표, 용어해설, 국제비교통계를 함께 제공하여 이용자가 지표에 대하여 깊이 있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또한, 모든 지표들은 관련 통계의 공표시기에 맞추어 수시로 업데이트되어 시의성 있는 자료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발전지표 구축 연혁
2012
· 국가정책지표 체계 구축에 관한 기본 연구 실시
2013
· 국가주요지표 체계 구축 계획 수립 및 추진, 기본 체계 마련
· 민간연구용역, 국회 공청회 등을 통한 1차 지표체계 구축(11월)
- 16개 영역, 143개 주요지표, 178개 보조지표, 128개 국제비교지표로 구성
2014
· 대국민 서비스 시작(4월)
2016
· 민간연구용역 결과를 기반으로 통계작성기관 설명회, 국민 의견 수렴 등을 거쳐 개편안 마련
2017
· 지표체계 개편(4월)
2019
· 지표체계 간 위상관계 정립 및 일관성 제고를 위한 국가주요지표 개편안 마련
· 지표체계 개편(7월)
- 국가발전지표로 명칭 변경
- 16개 영역, 93개 주요지표, 107개 보조지표로 구성
이용시 유의사항
· 국가발전지표는 국가 발전 상황의 장기적 추세를 전망하기 위해 연 단위로 작성되었으며, 분기·월 자료가
필요한 경우는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e-나라지표 등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국가발전지표는 여러자료를 토대로 가공된 지표가 많으므로 각 지표에 있는 정의, 산출방법, 주석 등에
유의하여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특히, 국제기구에서 작성한 국제비교통계는 국제비교를 위해서 특정 가정에 따라 조정된 통계로서,
주요·보조 지표의 수치와 다를 수 있습니다.
· 지표는 공표시기에 맞추어 매월 최신 자료로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 국가발전지표에 대한 문의사항이나 개선사항이 있을 경우, 홈페이지 커뮤니티 묻고답하기 게시판이나 아래
연락처를 통해 의견 주시기 바랍니다.
통계청 통계서비스기획과 042-481-2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