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합계출산율 추이(1970~2023)
OECD 국가별 합계출산율 현황(2012, 2022)
우리나라는 세계 최저 수준의 합계출산율로 인한 급격한 저출생 및 고령화로 심각한 경제·사회적 충격이 전망되고 있습니다.
통계청에서는 종합적인 저출생 현황을 파악하고,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 및 데이터 기반 정책 추진에 기여하고자 2023년부터 저출생 통계지표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지표체계의 기반을 마련하고 23개의 주요지표(안)을 우선 공개하였으며,
2024년에는 지표 자문위원회 및 관련 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저출생 통계지표 체계를 완성하고 61개의 최종 지표를 선정하여 공표하였습니다.
저출생 통계지표 체계 구성
저출생 통계지표 체계는 저출생의 인과관계를 고려할 수 있도록 '출산현황'을 중심으로 '결정요인'과 '정책제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① 저출생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출산현황, ②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③ 양쪽 영역에 개입하는 정책제도로 구조화되어 있으며,
관련 주제를 포괄할 수 있는 3대 영역별 3개의 부문으로 세분화되어 있습니다.
지표의 대표성, 타당성, 포괄성을 고려하여 61개의 최종 지표를 선정하고 그 중에서
각 부문 지표간의 중요도를 고려하고 이해도를 높이고자 지표 계량화 연구 결과(청년층 정규직 근로자 비율, 학교급별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등),
지표 자문위원회 논의 등을 통하여 23개를 대표지표로 선정하였습니다.
저출생 통계지표의 정책지표 역할 강화를 위해 정부·학계·민간위원 35명으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공개한 저출생 통계지표 중 미작성 지표*에 대해 제공 방안을 마련하고 지표 개발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 미작성 지표: 유배우 출산율, 자녀 1인당 월평균 양육비, 육아휴직 소득대체율
저출생 통계지표가 경제·사회 변화를 반영할 수 있도록 지표자문위원회를 통해 지속적으로 검토 및 개선하여 지표의 활용도를 제고하겠습니다.
저출생 통계지표는 여러 자료를 토대로 가공된 지표가 많으므로 각 지표에 있는 정의, 주석 등을 참고하여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수치는 반올림 처리 등으로 인해 세부 항목의 합계와 전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각 지표는 공표 시기에 맞추어 매월 말 최신 자료로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저출생 통계지표에 대한 문의사항이나 개선사항이 있을 경우, 지표누리 묻고답하기 게시판이나 아래 연락처를 통해 의견을 주시기 바랍니다.
영역 | 부문 | 지표명 | 비고 | |
---|---|---|---|---|
출산현황 | 출산력 | 출산규모 | 출생아수 | |
혼외출산 비율 | ||||
출산연령 | 여성의 평균출산연령 | |||
연령별 출산율 | ||||
출산순위별 연령별 출산율 | ||||
출산율 | 합계출산율 | |||
유배우 출산율 | 개발추진 | |||
코호트 출산율 | ||||
무자녀비율 | 신혼부부 무자녀비율 | |||
코호트 무자녀비율 | ||||
혼인력 | 혼인규모 | 혼인건수 | ||
초혼건수 | ||||
혼인연령 | 연령별 유배우율 | |||
평균초혼연령 | ||||
모자보건 | 모자보건 | 영아사망률 | ||
조산아 출생 비율 | ||||
저체중아 출생 비율 | ||||
다태아 출생 비율 | ||||
결정요인 | 가족형성 가치관 |
가치관 및 인식 | 자기실현주의 | |
물질주의 | ||||
계층이동 가능성 인식 | ||||
가족 내 성역할 인식 | ||||
의향 | 결혼에 대한 견해 | |||
결혼하지 않는 이유 | ||||
자녀에 대한 견해 | ||||
출산의향 | ||||
기대자녀수 | ||||
가족형성 조건 |
사회환경 | 청년층 수도권 집중도 | ||
소득분배지표 | ||||
청년층 소득이동성 | ||||
고용 | 청년층 고용률 | |||
청년층 정규직 근로자 비율 | ||||
소득 | 청년층 가구소득 | |||
청년층 소득구간별 분포 | ||||
주거 | 월소득대비 주택임대료 비율 | |||
청년층 자가(전세) 비율 | ||||
신혼부부 금융권 대출잔액 | ||||
양육돌봄 | 비용 | 자녀 1인당 월평균 양육비 | 개발추진 | |
학교급별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 ||||
자녀 교육비 부담도 | ||||
시간 | 성별 가사노동시간 | |||
부모별 자녀돌봄시간 | ||||
정책제도 | 정책수요 | 정책수요 | 저출생 정책제도 수요 | |
가족형성 지원 |
가족 | 가족에 대한 공적지출 | ||
고용 | 고용에 대한 공적지출 | |||
주거 | 임대주택 공급현황 | |||
출산 | 난임시술 지원현황 | |||
양육돌봄 지원 |
돌봄 | 자녀돌봄수당 | ||
보육기관에 대한 공적지출 | ||||
보육시설 이용률 | ||||
보육교사 1명당 보육아동 수 | ||||
일가정양립지원 | 출산휴가 사용자수 | |||
육아휴직 소득대체율 | 개발추친 | |||
육아휴직 사용률 | ||||
유연근무 이용률 | ||||
출산전후 모의 취업비율 | ||||
기혼여성 고용률 | ||||
맞벌이부부 비율 | ||||
가족친화 인증기업 수 | ||||
교육환경개선 | 학교급별 공교육비 | |||
늘봄학교 이용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