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분류그룹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최근갱신일 : 2023-12-07 (입력 예정일 : 2024-12-31) 공표주기 : 년

그래프

~
조회

통계표

~
조회

정의

소득분배 또는 소득불평등 지수임. 0에서 1사이의 값을 가지며, 0에 가까울수록 소득불평등이 낮고 1에 가까울수록 소득불평등이 높음을 나타냄.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으로 작성됨.

해설

지니계수는 국민의 소득불평등 정도를 보여주는 가장 대표적인 지표이다. 소득불평등의 심화는 경기활성화와 경제성장을 저해하고 더 나아가 사회적 갈등과 불안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소득불평등의 정도와 추이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여러 국가들의 지니계수를 비교함으로써 소득불평등의 국가 간 차이를 파악할 수 있고, 한 국가의 지니계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소득불평등의 추이를 관찰할 수 있다. 세전(시장)소득과 세후(처분가능)소득 기준으로 산출된 지니계수를 비교함으로써 정부의 소득재분배 정책 효과도 파악할 수 있다.

한국의 소득분배 지표는 2014년까지 「가계동향조사」자료로 작성되었으나 2015년부터는 고소득층 표본 대표성이 더 높은 「가계금융복지조사」자료로 작성되고 있다. 또한 「가계금융복지조사」자료를 국세청, 보건복지부 등의 행정자료와 결합함으로써 통계의 정확도를 높이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로 2015년과 2016년 지니계수는 이전 「가계동향조사」자료로 작성되던 것에 비해 더 악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가구원수를 고려한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으로 작성된 지니계수를 살펴보면, 2016년 전체 가구(전국, 1인가구 및 농가 포함) 기준으로 「가계동향조사」자료는 0.304, 행정자료로 보완한 「가계금융복지조사」자료는 0.355로서 더 크게 나타난다. 두 자료 모두 2011년 이후 지니계수가 조금씩 낮아지다가 2016년에 약간 반등하는 추이를 보인다.
세전소득인 시장소득과 세후소득인 처분가능소득(시장소득+공적이전소득-공적이전지출)의 지니계수를 비교하면 세금을 통한 정부의 소득재분배 정책 효과를 가늠할 수 있다. 2011년과 2016년 시장소득 지니계수는 각각 0.418과 0.402인데, 같은 해 처분가능소득 지니계수는 0.388과 0.355로 낮아진다. 이를 통해 정부의 재분배 정책에 의한 소득불평등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한국과 주요 국가들의 지니계수(2021년 처분가능소득 기준)를 비교하면, 한국(0.333)은 미국(0.375), 영국(0.354)보다는 낮고 폴란드(0.261), 헝가리(0.278), 스웨덴(0.286), 캐나다(0.292) 등의 국가들보다는 높다.

관련용어

가계금융복지조사
가구특성별 소득, 자산, 부채, 지출 등 국민의 생활수준 및 가계의 경제상황을 파악할 목적으로 2012년부터 매년 조사하고 있음. 지니계수 등의 소득분배지표를 가계동향조사에서 고소득층의 표본 대표성이 높고 연간 행정자료 활용이 가능한 가계금융복지조사로 변경함.
균등화소득
가구원 수를 감안하여 가구소득을 표준화하여 개인소득으로 변환한 것을 균등화 개인소득이라 하며, OECD가 제시한 방식에 따라 가구소득을 가구원수의 제곱근으로 나누는 제곱근지수를 이용하여 산출.
상대적빈곤율
균등화 중위소득(소득수준으로 정렬한 상태에서 한가운데 소득)의 50% 이하에 해당하는 인구비율.
소득점유율
소득 분위별 자료에서 해당 분위의 소득이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
소득5분위배율
계층간 소득격차를 보여주는 지표로, "소득 상위 20%의 평균소득/소득 하위 20% 평균소득"으로 산출함.
전체가구
가계동향조사, 농가경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인가구를 포함한 전체인구를 기준으로 작성.
중위소득
우리나라 인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제일 가운데 위치한 사람의 소득.
지니계수
소득불평등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1(완전 불평등 상태)에 근접할수록 불평등하고 0(완전 평등 상태)에 근접할수록 평등하다는 것을 의미함.

연관지표

서비스 만족도 조사

지표관련 질문은 [참여마당]-[묻고 답하기]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
평가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