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임대료비율(소득 대비)
· 최근 갱신일 : 2021-08-18
(입력 예정일 : 2022-08-31)
그래프
출처: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
*자료 : 국토교통부, 「2020 주거실태조사」
주석: 1) 월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RIR) = (중위월임대료 ÷ 중위월가구소득) × 100.
통계표
전국, 수도권 및 광역시도 월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
출처: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
*자료 : 국토교통부, 「2020 주거실태조사」
주석: 1) 월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RIR) = (중위월임대료 ÷ 중위월가구소득) × 100.
2) 수도권은 서울, 인천, 경기 지역임.
3) 2018년부터 세종은 ‘광역시 등’에 포함하여 분석하였고 이전은 충남(도 지역)에 포함.
정의
주택임대료의 월소득 대비 비율임. 중위월임대료를 중위월가구소득으로 나누어 산출함.
해설
주택임대료는 가구지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Rent to Income Ratio)은 소득에서 주거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어느 정도인지를 보여준다. 주택임대료 비율이 높을수록 주거비 부담이 큰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택임대료 비율이 20%를 넘으면 주거비 부담이 과중하다고 판단한다.
주택임대료 비율은 2020년 16.6%로 2019년보다 0.5%p 증가하였다. 2006년 18.7%에서 2014년 20.3%까지 증가한 이후 감소추세이다가 2019년에 소폭 상승하였다. 주택임대료 비율은 지방보다 수도권이 높아 수도권의 주택임대료 비율은 2008년부터 2014년까지 20%를 넘었다가 최근에야 20% 이하로 떨어졌다.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광역시도의 경우 2008년과 2010년에 하락한 후 15% 안팎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수도권 거주자의 주거비 부담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다.
관련용어
월소득대비임대료(RIR: Rent-to-Income Ratio)
월평균 소득에 대비 임대료의 비율을 의미하며, 무주택자가 주거를 위해 소득에서 부담하는 비율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