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의료인력 추이 0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 지표개념

○ 의료인 : 의료법 제2조에 의거 평가인증기구의 인증을 받은 해당학문을 전공하는 대학을 졸업하고 국가시험에 합격후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받은 의사.치과의사.한의사.조산사.간호사를 말함

■ 의의 및 활용도

○ 적정 의료인력 확보로 의료 선진화 달성

○ 궁극적으로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 및 사회 안전망 확충의 척도

■ 수치해석방법

○ 인구 10만명당 의료인수 : 보건복지통계연보 '면허 의료인 수' * 100,000(명)/통계청 장래인구 추계(매년 7.1. 기준)


지표해석

■ 수치증감 분석

○ 인구 10만명당 의료인 수 추이

- 인구 10만명당 의사 면허자 수는 2022년 261명-> 2023년 266명, 인구 10만명당 간호사 면허자 수는 2022년 931명-> 2023년 974명으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임

■ 국제비교(2023 OECD Health Data 자료 기준)

○ 인구 천명당 의료인수

- 한국의 임상 의사 수(한의사 포함)는 인구 1,000명당 2.6명으로 OECD 국가 중에서 두 번째로 적음(OECD 평균 3.7명)
한국의 임상 의사 수(한의사 포함)는 2016년 인구 1,000명당 2.3명 → 2021년 2.6명으로 0.3명 증가함.(OECD 평균은 0.3명 증가)
- 한국의 임상 간호인력 수는 인구 1,000명당 8.8명으로 OECD 평균 9.8명보다 1.0명 적음
한국은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인원을 합하여 임상 간호인력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임상 간호인력은 2016년 6.8명-> 2021년 8.8명으로 2.0명 증가(OECD 평균 0.6명 증가)

○ 의사 수급전망

- 적정 의사인력의 수요, 공급에 대한 중장기 인력수급 추계 등을 실시하여 균형적인 의사인력 양성 예정

○ 간호사 수급전망

- 인구 노령화, 만성질환 증가에 따른 간호서비스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간호인력 전체 인원수는 증가하고 있으나 인구 1,000명당 활동 간호사 수는 주요 선진국에 비해 적은 수준
- 간호인력의 만성적인 부족 및 잦은 이·퇴직률을 고려할 때, 입학정원 증원 및 유휴간호사 재취업 연계 등 적정 인력 확충정책 검토 필요


관련용어

의료인 : 의료법 제2조에 의거 해당 전공학과를 졸업하고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받은 의사.치과의사.한의사.조산사.간호사를 말함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보건복지부, 의료인력정책과, 044-200-2433

최근 갱신일 :   2025-03-05(입력예정일 : 2026-02-20)

자료 출처 :   보건복지부 통계연보, OECD Health Statistics, 통계청(장래인구추계)

공표 주기 :   1년

정책정보

주요정책자료
번호 제목 등록일
1 2023 보건복지통계연보 인쇄본.pdf 2024-02-15
관련 법령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