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표개념 ㅇ 수산물 및 그 가공품에 대한 수출·입 실적을 연도별로 집계한 자료로 우리나라 수산물 수출·입 규모(중량, 금액)를 나타냄
■ 지표의 의의 및 활용도 ㅇ 우리나라 수산물 수출·입 동향에 대한 정보를 파악 ㅇ 향후 수출대책 방향 수립 및 수출·입 동향 분석, 전망의 기초 자료로 활용
■ 수치해석방법 ㅇ 연도별 수출·입 실적은 백만달러, 천톤 단위로 표시
■ 담당부서 ㅇ 수산물 수출 동향 : 수출가공진흥과 044-200-5482 ㅇ 수산물 수입 동향 : 통상무역협력과 044-200-5382
지표해석
■ 수치증감 및 변동요인 분석
▶ 수출 ㅇ '23년 수산물 수출액은 30.0억불로 전년(31.5억불) 대비 4.9% 감소, 세계경제 성장세 둔화 및 무역분쟁 등 불확실성이 지속되나 2년 연속 약 30억불 달성 - (국가별) 일본, 미국, 태국, 베트남은 수입 증가, 중국, 인도네시아, 홍콩은 감소 - (품목별) 한류 인지도 상승 등으로 김 수출 최초 1조원(약 7.9억불) 달성, 굴, 고등어 등은 증가, 참치, 게 등은 감소
▶ 수입 ㅇ '23년 수산물 수입액은 63.8억불로 전년(69.6억불) 대비 8.3% 감소 ㅇ 전년 대비 주요 수입국 중 중국, 페루 수입 증가, 러시아, 베트남 등은 감소 ㅇ 품목별로 전년 대비 오징어, 어란, 참치 증가, 명태, 새우, 대게, 연어는 감소
■ 향후 전망 및 정책방향
▶ 수출 ㅇ (향후 전망) 수산물 무역분쟁, 중국 경기침체 지속 등 불확실한 통상환경 및 각국 비관세장벽 강화 등으로 수출 확대 장애 요인 존재 ㅇ (정책 방향) 수출기업 맞춤형 지원 및 국제인증 및 물류 등 해외시장 개척 지원 강화, 비관세장벽 적극 대응, 김산업 육성 등 수출 확대 도모
▶ 수입 ㅇ (향후 전망) 고환율·고물가 지속, 국내 경기 둔화로 인한 소비 위축 등으로 수산물 수입 증가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 ㅇ (정책방향) 국내 수산물 생산자의 경쟁력 확보 및 국내 소비시장 보호를 위하여 조정관세‧할당 관세 등 수산물 탄력관세를 시행하고, 자유무역협정(FTA) 협정별 저율관세할당(TRQ) 물량 수입에 따른 부담금을 국내 어업인 지원에 활용
유의사항
ㅇ수출·입 업자의 신고로 관세청에 접수된 통관자료에 기초하여 작성된 자료로 신고 시점에 따라 통계 값이 변화될 수 있음
관련용어
관세·통계통합품목분류표(HSK) : 관세협력이사회(CCC)는 국가간 품목분류를 통일해 통관을 신속하게 함으로써 국제무역을 증진시키고 정확한 수출입 통계를 잡기 위해 국제적 통일품목 분류체계인 HS(Harmonized System)협약을 운용. 관세통계통합품목분류표(HSK; the Harmonized System of Korea)는 HS협약에 의한 HS 품목분류표 6단위 코드를 우리 필요에 따라 10단위로 세분화한 분류표로, 2021년 기준 수산물 품목수는 687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