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Quick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결혼이민자 현황 5

그래프

통계표

~ 조회 행렬전환
~ 조회 행렬전환

의미분석

지표설명

■ 지표개념

○ 결혼이민자는 체류외국인 중 국민의 배우자 체류자격을 가진 자임

- 2009년 이전 : F-2-1 및 F-1-3(국민의 배우자)

- 2010년 이후 : F-2-1 및 F-5-2(국민의 배우자), F-6(결혼이민, 2011.12.15.신설)


■ 의의 및 활용도

○ 국제결혼이 증감함에 따라 결혼이민자 및 그 가족에 대한 외국인 정책수립 및 평가 시 기초자료로 활용


지표해석

■ 수치증감 및 변동요인 분석



○ 건전한 국제결혼 문화 정착을 위해 시행된 결혼이민(F-6) 사증발급 요건 강화(2014년) 조치 이후 국적을 취득하거나 출국하는 결혼이민자보다 신규 유입되는 결혼이민자가 많아짐

- 이에 따라 2019년까지 결혼이민자의 수는 전년 대비 2% 이상 증가함

- 코로나-19로 인해 국가간 이동이 제한됨에 따라 2020년 이후 신규 입국하는 결혼이민자가 감소하였고 2021년 결혼이민자는

전년과 같은 수준으로 유지됨

- 2021년에는 166,711명으로 전년대비 1.1% 감소함

- 성별로는 여성이 135,019명이고 남성은 31,752명임

- 거주지역별로 보면 경기(30.8%), 서울(16.4%), 인천(6.9%) 등 수도권 거주자가 54.1%로 과반수이상을 차지함



○ 국적별로는 중국 35.4%, 베트남 24.6%, 일본 8.9%, 필리핀 7.1%순으로 많음

- 국제결혼 안내프로그램 이수대상인 7개 국가 출신 결혼이민자의 비율은 76.9%로 2017년에 비해 3.2%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전체 결혼이민자의 다수를 차지함




■ 향후 전망 또는 향후계획



○ 다문화 가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결혼이민자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필요함



■ 참고사항



○ 국적별 현황은 장단기 전체 결혼이민자 현황을 표시한 수치이고, 지역별 현황은 미등록자는 제외한 수치임


유의사항

ㅇ 결혼이민자 현황 통계에 귀화 등으로 한국국적을 취득한 자는 포함되지 않음
ㅇ 국적별 현황은 장단기 전체 결혼이민자 체류현황을 표시한 수치이고, 지역별 현황은 미등록자는 제외한 수치임


관련용어

결혼이민자 : 체류외국인 중 국민의 배우자 체류자격을 가진 외국인

외국인 : 대한민국의 국적을 가지지 아니한 자(출입국관리법 제2조제2항)

국민의 배우자 체류자격 : 2009년 이전에는 F-2-1 및 F-1-3, 2010년 이후에는 F-2-1 및 F-5-2,
2011.11.15.이후에는 F-2-1, F-5-2, F-6-1.2.3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법무부, 이민정보과, 02-2110-4094

최근 갱신일 :   2022-07-26(입력예정일 : 2023-07-31)

자료 출처 :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공표 주기 :   1년

연관지표

정책정보

주요정책자료
번호 제목 등록일
등록된 정책 자료가 없습니다.
관련 법령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