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Quick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영아/모성 사망 3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행렬전환
~ 조회 행렬전환

의미분석

지표설명

■ 지표개념

○ 모성사망비 : 모성사망 측정을 위해 개발된 지표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표로 출생아 10만명당 모성사망의 수로 표시

○ 영아사망률 : 출생 후 1년 이내(365일 미만) 사망자수를 해당 연도의 출생아수로 나눈 수치를 1,000분비로 나타낸 것으로 국제적으로 국민 보건 수준을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됨

- 생존기간별 구분 : 신생아(0~27일), 신생아 후기(28~364일), 영아(0~364일)


■ 의의 및 활용도

○ 우리나라의 영아사망, 모성사망 및 사산의 수준과 특성 및 추세를 파악하여 모자보건정책의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


■ 수치해석방법

○ 모성사망률 : 15~49세 가임기 여성수에 대한 모성사망수로 출산과 관계없이 가임기 여성의 모성사망 위험지표


지표해석

■ 수치증감 및 변동요인 분석

○ 모성사망비 추세

- 2021년 모성사망비는 같은 해 출생아 십만명 당 8.8명으로 전년대비 25.4% 감소
(2013년 : 11.5명, 2014년 : 11.0명, 2015년 : 8.7명, 2016년 : 8.4명, 2017년 : 7.8명, 2018년 11.3명, 2019년 9.9명, 2020년 11.8, 2021년 8.8명)

- OECD 회원국의 모성사망비 평균은 11.0명으로 한국(2021년 기준, 8.8명)은 낮은 수준
(OECD 평균은 각 회원국의 이용 가능한 최근 자료를 활용하여 산출, 2022년 10월 추출)

○ 영아사망률 추세

- 2021년 영아사망률은 출생아 천명당 2.4명으로 전년대비 0.1명 감소

- OECD 회원국의 영아사망률 평균은 4.1명으로 한국(2021년 기준, 2.4명)은 낮은 수준
(OECD 평균은 각 회원국의 이용 가능한 최근 자료를 활용하여 산출, 2022년 10월 추출)


유의사항

- 보건복지부가 실시하던(1993년~2008년 기준) 「영아모성사망조사」가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에 통합(2011. 9.)됨
- 2009년 이후 자료는 통계청의 사망원인통계(사망원인 보완조사, 1년주기)를 활용함


관련용어

모성사망 : 임신 기간 또는 부위와 관계없이, 우연 또는 우발적인 원인으로 인하지 않고, 임신 또는 그 관리에 관련되거나, 그것에 의해 악화된 어떤 원인으로 인하여 임신 중 또는 분만 후 42일 이내에 발생한 사망

영아사망 : 출생 후 1년 이내(365일 미만) 사망

신생아사망 : 생후 28일 미만에 발생하는 사망

신생아후기사망 : 생후 29일째부터 1년 이내(365일 미만)에 발생하는 사망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보건복지부, 출산정책과, 044-202-3394

최근 갱신일 :   2023-01-16(입력예정일 : 2025-01-01)

자료 출처 :   2008년 이전:보건복지부 영아모성사망조사(국가승인통계 제117033호), 2009년 이후:사망원인통계조사(국가승인통계 제101054호)

공표 주기 :   1년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