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림업생산액 : 일정기간(1년)에 생산된 품목을 금액으로 나타낸 수치로 각 품목에 대해 전국 생산량과 전국 평균 농가판매가격을 곱하여 산출
■ 의의 및 활용도
○ 농림업생산액은 연도별 농림업 생산동향 및 품목별 생산현황 등을 파악하는데 활용되며, 농림어업 부가가치 산출시 총산출 추계 자료로 쓰임
○ 농림업 부가가치는 국내총부가가치 대비 비중으로 농림업이 국가경제에 어느정도 차지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음
지표해석
[농림업 생산액 추이 및 변동요인 분석]
□ '23년 농림업 생산액은 61조 5,886억원으로 '22년 대비 2.2% 증가
□ 농업 생산액은 59조 2,689억원으로 전년 대비 2.1% 증가, 임업 생산액은 2조 3,197억원으로 6.7% 증가
ㅇ 농업의 재배업 생산액이 35조 381억원으로 전년 대비 7.3% 증가
ㅇ 축잠업 생산액은 25조 2,308억원으로 전년 대비 4.6% 감소
[향후 정책에 대한 정보]
ㅇ 농림업 생산액 산출 대상품목은 생산구조의 변화로 시간이 지나면서 새로운 품목이 나타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며, 품목간 생산비중의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5년마다 개편하여 품목변화의 특성을 최대한 반영할 예정임
유의사항
(농림업생산지수) 생산지수는 2020년 기준임 (국민계정) 연간잠정치: 해당 연도 종료 후 6개월 내에 잠정 공표 연간확정치: 해당 연도 종료 후 18개월 이내 연간잠정 시에는 일부 기초자료를 이용하지 못함에 따라 추후 공표될 연간확정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시계열 분석 시 유의
관련용어
생산액 : 일정기간(1년)에 생산된 품목을 금액으로 나타낸 수치로 각 품목에 대해 전국 생산량과 전국 평균 농가판매가격을 곱하여 산출
부가가치 : 생산활동 결과 새로 부가된 가치로서 국민계정에서는 산출액에서 직.간접생산비 중 모든 중간비용을 뺀 값으로 추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