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개성공단 생산액 및 근로자 현황 1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 지표개념

개성공단 생산액 및 북측근로자 현황은 개성공단 입주기업이 북측의 노동자를 고용, 어느 정도의 생산실적을 올리고 있는가를 수치로 나타낸 지표로서, 수치가 커질수록 개성공단이 활성화 되고 있음을 표시


■ 의의 및 활용도

개성공단은 남측의 자본과 기술, 북측의 노동력을 결합하여 남북 공동의 이익창출을 위해 조성된 공단으로서, 생산액 지표는 공단의 활성화 정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라고 볼 수 있으며, 추세분석 등 시계열분석을 통해 개성공단의 효율성과 정책성과 측정의 기초자료로 활용


■ 수치해석방법

생산액 현황은 입주기업들의 제품생산량에 공장출하가격을 곱해 산출되며, 수치가 높을수록 공단 생산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졌음을 의미


지표해석

■ 수치증감 및 변동요인 분석

o 개성공단은 ‘05년 본격적으로 생산을 개시, '15년까지 매해 생산액이 크게 증가하였고 이는 입주기업의 증가, 근로자들의 생산성 향상에 따른 것으로 평가( '13년은 북한의 일방적인 개성공단 인력철수로 인해 생산액이 감소)

- 그러나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으로 인해 '16년 2월 가동이 전면중단(2.10) 되었고 이후 중단 상태가 지속



o '10년 개성공단 생산액은 32,332만불로 '09년(25,647만불) 보다 26.1% 증가, '11년 생산액은 40,185만불로 전년대비 24% 증가, '12년 생산액은 46,950만불로 전년대비 16.8% 증가, '13년 생산액은 22,378만불로 전년대비 52.3% 감소, '14년 생산액은 46,997만불로 전년대비 110.0% 증가, '15년 생산액은 56,330만불로 전년대비 19.8% 증가, '16년은 2월 초 가동 전면중단(2.10) 및 입주기업 긴급 철수(2.11)로 인해 생산액 추계가 불가능



■ 향후 전망 또는 향후 계획

개성공단은 현재 경색된 남북관계로 인해 그 가동이 전면 중단된 상태이며 향후의 재가동 전망 등에 대해서는 가시적인 예측은 어려운 상황


유의사항

본 통계는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제출 자료를 바탕으로 집계되는데, 경리담당 실무자가 없는 현지법인들이 많아, 중복·누락 등 통계의 오차가능성이 상존

관련용어

생산액 : 생산액은 입주기업이 생산한 물품량에 공장출하가격을 곱한 것을 금액으로 표시한 것을 말함.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통일부, 당국사업운영과, 02-2076-1021

최근 갱신일 :   2024-06-26(입력예정일 : 2025-07-02)

자료 출처 :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

공표 주기 :   1년

정책정보

주요정책자료
번호 제목 등록일
등록된 정책 자료가 없습니다.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