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예비군 교육훈련 현황 0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 예비군 교육훈련 개념

ㅇ 예비군 교육훈련은 병역의무의 연장에 의해 병역법과 예비군법에 의거 실시하는 것으로 전·평시 현역부대의 증원 또는 지역방위작전을 수행하는 목적이 있음.

ㅇ 예비군 훈련 유형은 훈련 목적 및 교육 내용에 따라 동원훈련Ⅰ형, 동원훈련Ⅱ형, 기본훈련, 작계훈련으로 구분.


■ 지표 의의

ㅇ 예비군훈련 참석률을 통해 예비군의 훈련 성과를 높이기 위한 국방부의 노력 정도(예비군 편익을 위한 제도 및 여건개선 정도)와 훈련의 성과를 가늠해 볼 수 있음.


지표해석

■ 예비군 교육훈련 동향 분석

ㅇ 훈련 참석률 증가는 훈련 전반에 나타나는 성과로써 예비군훈련의 효과와 더불어 훈련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제도개선과3대 불편해소 등 예비군의 편익을 위한 제도개선의 결과로 나타는 것으로 볼 수 있음.

ㅇ 훈련성과 제고를 위한 제도개선 사항

- 성과위주 측정식 합격제 정착 : 조기퇴소제 등 인센티브 부여, 동기유발, 자율참여

- 시·군·구 단위로 산재된 훈련장을 과학화된 연대단위 훈련장으로 통합

*영상모의 사격장비 등을 활용 실전 적인 훈련 실시

ㅇ 예비군 편익보장 위한 제도 및 여건 개선사항

- 휴일/전국단위 훈련 소집 제도 시행으로 훈련 참여 편의 보장

- 예비군훈련 3대 불편사항(급식, 교통, 훈련장 편의시설) 해소 추진 → 훈련 만족도 향상

- 동원훈련Ⅰ형 보상비 인상 추진

: '15년 6,000원, '16년 7,000원, '17년 10,000원, '18년 16,000원, '19년 32,000원, '20년 42,000원, '21년 47,000원,
'22년 8,000원, '23~'24년 8,200원

ㅇ '16년도 예비군훈련 참석률은 경주 지진 등의 영향으로 훈련연기 등 이월자 발생으로 감소

ㅇ 코로나 영향으로 집결할 수 없어 '20년 예비군훈련은 3번의 연기결정 끝에 예비군훈련을 미실시하게 되었음.

이에 통계 현황의 목적을 고려시 '20년 예비군훈련 유형별 통계자료는 미입력하는 것이 타당함.


■ 향후 전망

ㅇ 국방개혁과 연계 예비전력 정예화 추진

ㅇ 예비군훈련은 예비군 본인이 원하는 시기와 장소에서 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과학화 예비군 훈련장 구축을 확대하고, 예비군이 훈련 참여에 따른 실비도 단계적으로 인상할 계획임.


유의사항

ㅇ 작계훈련은 전 후반기 현황을 합산

관련용어

동원훈련Ⅰ형 : 간부(1~6년차) 및 병(1~4년차) 출신 예비군 중 동원 지정자가 받는 훈련(2박3일)

동미참훈련Ⅱ형 : 병력동원소집 대상자 및 병력동원소집 대상자 중 동원훈련Ⅰ형 미참석자가 이수해야 할 훈련(32H)
* 간부 및 공군 병은 임무 특성상 2박 3일(28H) 소집 훈련

기본훈련 : 예비군 5~6년차가 이수해야할 훈련(8H)

작계훈련 : 예비군 5~6년차가 이수해야 하는 훈련(전·후반기, 6H 2회)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국방부, 예비전력정책관실 예비군훈련정책과, 042-748-5245

최근 갱신일 :   2025-03-10(입력예정일 : 2026-01-06)

자료 출처 :   훈련결과

공표 주기 :   1년

정책정보

주요정책자료
번호 제목 등록일
등록된 정책 자료가 없습니다.
관련 법령
관련 사이트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