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선택
시작시점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
종료시점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조회
기간선택
연도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조회
지표설명
■ 지표 개념 ° 총사용량 - 농약(비료) 제조업체가 당해연도 농가에 출하(판매)한 총 물량 (성분량 기준)을 말함 ° 단위면적(ha당) 사용량 - 당해연도 농약(비료) 출하(판매)량(성분량 기준)을 전체 경지이용면적으로 나누어 산출한 값 ■ 지표의 의의 및 활용도 ° 농업경제 활동분석 등 기초자료로 활용 ■ 수치 해석방법 ° '17년 1ha(가로100m* 세로 100m)에 평균 비료사용량은 270kg이며, 화학농약사용량은 10.3kg으로 연도별 비료 농약사용량을 통하여 친환경농업의 확대 추이 등을 알수 있음
지표해석
■ 증감추이 분석 ° 화학농약 총사용량은 농약 제조업체에서 판매상에 유통한 물량으로, 매년 감소하여 ‘16년에는 19,798톤으로 감소 - 단위면적(ha)당 사용량은 ‘98년 10.4kg에서 ‘01년 이후 약 13kg 내외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16년은 9.3kg으로 감소 ° 화학비료 총사용량(성분량기준)은 ‘99년 842천톤에서 ’10년 423천톤으로 지속 감소 추세였으나, '12년 472천톤, '16년 450천톤으로 일부 증가 - ‘05년의 경우 화학비료 보조가 완전 폐지됨에 따른 일시적 사전 구매로 722천톤까지 증가하였으나, ’07년에는 친환경농업 확대 등으로 인해 631천톤으로 감소하였고, '08년은 화학비료 가격의 큰폭 인상 등으로 570천톤으로 감소, '09년 500천톤으로 감소, '11년 맞춤형비료 지원 등으로 447천톤으로 감소 - 단위면적(ha)당 사용량은 ’02년 342kg까지 지속 감소하다가 ’04~‘05년에는 일시적 증가하였으나 ‘07년은 340kg, '08년은 311kg, '09년 267kg, '11년 249kg으로 감소하였고, '16년에 268kg으로 소폭 증가 ■ 국제간 비교 ° 우리나라 ha당 화학농약 사용량은 주요국과 비교하여 다소 높은 수준(출처 : OECD 자료) - 한국 10.5kg/ha(2020년), 일본 11.9(2020년), 네덜란드 10.8(2020년) ° 우리나라 ha당 화학비료 사용량은 주요국과 비교하여 약간 높은 수준(출처: FAO STAT 등) - 한국 262kg/ha(2019년), 일본 191(2019년), 미국 109(2019년) ■ 향후전망 및 대책 ° 화학농약은 고온·다습한 기후로 인한 높은 병해충 발생과 연중재배, 집약생산 등의 영농특성으로 인하여 사용량이 많은 편이나 최근 친환경농산물 생산 증가,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기준 강화 등으로 사용량은 현 수준으로 유지될 전망 ° 화학비료는 ‘05년부터 보조금 지원중단 및 가축분뇨 퇴비 등 유기질비료에 대한 지원확대 등으로 사용량이 계속 감소될 전망 - '10년부터 '12년까지 토양검정결과를 고려한 맞춤형비료 정부 지원을 통하여 화학비료 감축 추진 ° '99년 부터 유기질비료 지원을 시작하여 지원량을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화학비료 사용 절감 유도 *통계관련 문의처 : 농림축산식품부 첨단기자재종자과(농약 : 044-201-1895, 비료 :044-201-1893)
유의사항
o 농약 사용량은 당해연도에 판매된 농약을 말하는 것으로 시중 재고량, 기후, 병해충 발생현황 등에 따라 연도별 사용량의 진폭이 커질 수 있음 o 화학비료 사용량은 당해연도에 판매된 비료량을 말하는 것으로 가격인상 등 여건변화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총사용량 : 농약(비료) 제조업체가 당해연도 농가에 출하(판매)한 총 물량(성분량 기준)을 말함
단위면적(ha)당 사용량 : 당해연도 농약(비료) 출하량(성분량)을 전체 경지이용면적으로 나누어 산출한 값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농림축산식품부, 첨단기자재종자과, 044-201-1893
최근 갱신일 : 2025-03-10(입력예정일 : 2025-12-31)
자료 출처 : 『농약연보』(한국작물보호협회),『비료연감』(한국비료협회), 『비료사업통계요람』(농협경제지주)
공표 주기 : 1년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 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