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Quick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가소송사건수 0

그래프

통계표

~ 조회 행렬전환
~ 조회 행렬전환

의미분석

지표설명

■ 지표의 개념 및 의의



° 국가소송 통계는 국가소송의 현황과 질적, 양적변화 등을 측정 분석하여 송무정책 수립 등의 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작성

- 근거규정 : 국가를당사자로하는소송에관한법률시행규칙



° 당해연도 확정된 국가소송 사건 중에서 국가가 승소 및 패소한 사건수를 확인하여 승소 및 패소 비율을 제시한 지표

- 승소율(%) = 당해년도 승소 사건수 / 당해년도 확정된 사건 수 x 100

- 패소율(%) = 당해년도 패소 사건수 / 당해년도 확정된 사건 수 x 100


지표해석

■ 국가소송 사건 추이 분석

° 국가소송 사건 접수 현황

- 국가소송 사건은 2001년도 이래 매년 점진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2015년도에는 14,874건으로 최고치를 기록하였고, 2016년에는 10,390건으로 감소하였으며, 이후 2019년도까지 1만건대를 계속 유지하고 있음

- 특히 2015년도에 보건복지부에서 장애인 LPG차량 보조금 부정수급자에 대한 부당이득반환소송을 제기하여 국가원고사건이 급증하는 요인이 됨

° 국가소송의 승패율 변화

- 국가소송의 (전부)승소율은 2001년도 이래 35%대를 평균치로 소폭 등락을 거듭해 오다가 2010년도 이후 2015년도까지 42~45%대를 유지하였으나 2016년도에는 34.4%로 감소하였음. 그러나 2017년도에는 38.5% , 2018년도에는 39.9%로 계속 상승하다가 2019년도에 37.3.%로 소폭 하락함

- 국가소송의 (전부)패소율은 2001년도 24.1%를 기록한 이후 꾸준한 감소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2010년도에는 전 10년간 평균치 19% 대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2010년 15.3%을 기록한 이후 2015년도까지 13%~16%대로 안정적으로 유지해 오다가 2016년에는 10.7%로 최저치를 기록하였음. 이후 2017년도 12.1%, 2018년도 10.7%, 2019년도 11.1%로 등락을 반복함


유의사항

o 승소율은 전부승소건수로 계산(일부승소 건수는 제외)
o 패소율은 전부패소건수로 계산(일부패소 건수는 제외)


관련용어

접수건수 : 전년도 이월사건과 당해연도 접수사건을 합산한 건수

처리건수 : 재판이 확정되어 종결된 건수

승소건수 : 국가가 재판에서 승소한 경우 ※ 승소율(%) = 승소건수/처리건수×100

패소건수 : - 국가가 소송에서 패소한 건수 ※ 패소율(%) = 패소건수/처리건수×100

부동산소송 : 국가가 당사자인 부동산관련 소송

손해배상소송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직무집행과 관련한 불법행위 및 영조물의 설치.관리상의 하자로 인한 국가배상소송과 주한미군의 공무상 불법행위로 인한 협정배상소송

기타 : 부동산소송 및 손해배상소송을 제외한 사해행위, 부당이득금, 보험금청구, 구상금청구 등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법무부, 국가소송과, 010-7936-1339

최근 갱신일 :   2023-01-30(입력예정일 : 2024-01-31)

자료 출처 :   『국가소송통계』(매 익년 초)

공표 주기 :   1년

정책정보

주요정책자료
번호 제목 등록일
등록된 정책 자료가 없습니다.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