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여성가구주 가구 비율 2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 여성가구주 개념

° 여성가구주 : 가족의 생계 책임을 맡고 있는 여성

- 배우자가 부재한 경우뿐 아니라 배우자가 있는 경우와 미혼여성까지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서 주민등록상에 세대주로 등록되어 있는 여성을 가리킴

- 즉 사별 혹은 이혼 등으로 인해 남성 배우자가 없는 가구, 배우자가 부양자로서의 기능을 하지 않는 유배우자 가구, 그리고 미혼 가구에서 여성이 세대주인 가구가 이에 포함되며, 여성가장과 비슷한 의미로 사용


■ 지표의 의의 및 활용도

° 한부모가족 등 다양한 형태의 가족지원을 위한 정책수립에 활용


지표해석

■ 여성가구주 가구 추세

° 여성가구주 비율은 ’75년도 이후 ’20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

- ’15년에는 29.6%(5,666천가구)였던 여성 가구주 비율이 2020년 32.7%(6,845천가구)로 3.1%p 증가

- 여성가구주의 혼인상태를 보면 유배우자가 32.8%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사별, 미혼, 이혼 순임

° 이혼가구주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라 여성가구주는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전망

° 여성가구주는 가족의 생계유지와 자녀양육을 혼자서 감당해야 하므로 경제적 어려움이 큼

☞ 따라서 가구빈곤 위기에 놓인 여성가구주를 위한 실질적인 고용 및 소득보장에 대한 대책 필요


유의사항

o「여성가구주 가구」는 생계를 실질적으로 책임지는 가구주가 누구인가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여성 한부모가구」와 다른 개념임
o 가구는 1인 또는 2인 이상이 모여서 취사, 취침 등 생계를 같이 하는 생활 단위


관련용어

가구주 : 호주 또는 세대주와 관계없이 가구를 실질적으로 대표하는 사람을 말하며, 혈연관계 없는 사람끼리 모여 사는 경우에는 그 중 한사람(대표자)이 가구주가 됨

여성가구주 가구비율 : 일반가구 중 가구주가 여성인 가구의 비율

유배우 : 결혼하여 배우자가 있는 사람

사별 : 배우자 중 한쪽이 사망하여 현재 재혼하지 않고 혼자 살고 있는 사람

이혼 : 배우자와 서로 헤어져서 현재 재혼하지 않고 혼자 살고 있는 사람

미혼 : 혼인한 사실이 없는 사람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여성가족부, 가족정책과, 02-2100-6324

최근 갱신일 :   2024-08-22(입력예정일 : 2027-04-29)

자료 출처 :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공표 주기 :   5년

연관지표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