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설명
[ 2004-2009년 취업률 산출기준 ]
- 취업률(%) = 취업자/(졸업자-진학자-입대자-취업불가능자-외국인유학생)*100
-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는 2004년부터 시작되었으므로, 그 이전년도는 고등교육통계조사자료임
(참고 : 고등교육통계 취업률(%) = 취업자/(졸업자-입대자-진학자)*100)
- 졸업자는 전년도 8월 졸업자와 당해 연도 2월 졸업자를 포함
- 취업자는 조사시점(4월 1일 기준)에 주당 18시간을 일하면서 노동력을 제공하고 그에 대한 일정 소득이 있는 자를 의미하며
정규직/정규직(대기발령)/비정규직(임시직)/비정규직(시간제.일용직)/자영업을 포함
- 취업불가능자와 외국인유학생은 2006년부터 조사했으므로 그 이전년도 산출기준에서는 제외됨
※ 통계청.ILO 기준 : 조사 주간에 1시간 이상 수입을 목적으로 일한 자
[ 2010년 건강보험DB연계 취업률 산출기준 ]
- 건강보험DB연계 취업률(%)=(건강보험 직장가입자)/(졸업자-진학자-입대자-취업불가능자-외국인유학생-제외인정자)*100
[ 2011년~ 건강보험 및 국세DB연계 취업률 산출기준 ]
- 건강보험DB연계취업률(%) = (건강보험 직장가입자+해외취업자+농림어업종사자+개인창작활동종사자+1인창(사)업자+프리랜서)/
(졸업자-진학자-입대자-취업불가능자-외국인유학생-제외인정자)*100
※ 2010년부터 건강보험DB연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로 바뀌어, 이전자료와 기준 및 조사방법이 다르므로 단순 비교 불가능
※ 2011년부터는 다양한 직종의 취업자를 반영하기 위해 12.31. 자로 기준일을 변경(기존 4.1.)하고, 국세DB와 연계하였으므로 이전 자료와 단순 비교 불가능
지표해석
<2023년 12월 31일 기준, 고등교육기관 취업률 특징> - 2024년 발표
1. 조사대상; '23년 2월 졸업자('22년 8월 졸업자 포함)
- 전국 일반대학, 교육대학, 산업대학, 전문대학, 각종학교, 기능대학, 방송통신대학, 사이버대학, 원격대학, 기술대학, 전공대학 및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 대학원대학의 2023년 2월 및 2022년 8월 졸업자 64만 6,062명을 대상으로 2023년 12월 31일 기준 취업 및 진학여부와 급여 수준, 취업 준비기간 등 취업 세부정보를 파악
2.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률 70.3%(0.7%p↑),유지취업률 80.9%(0.4%p↑)
3. 통계청과 협업하여 졸업자의 취업 후 1~3년간 일자리 이동 현황 및 경로를 다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일자리 이동통계’ 발표
※ 계열별 취업률, 질적 취업정보등 기타 세부내용은 붙임 보도자료 참조
<2022년 12월 31일 기준, 고등교육기관 취업률 특징> - 2023년 발표
1. 조사대상; '22년 2월 졸업자('21년 8월 졸업자 포함)
- 전국 일반대학, 교육대학, 산업대학, 전문대학, 각종학교, 기능대학 및 일반대학원의 2022년 2월 및 2021년 8월 졸업자 55만 8,039명을 대상으로 2022년 12월 31일 기준 취업 및 진학여부와 급여 수준, 취업 준비기간 등 취업 세부정보를 파악
2.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률 69.6%(1.9%p↑),유지취업률 80.5%(0.8%p↑)
3. 통계청과 협업하여 졸업자의 취업 후 1~3년간 일자리 이동 현황 및 경로를 다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일자리 이동통계’ 발표
※ 계열별 취업률, 질적 취업정보등 기타 세부내용은 붙임 보도자료 참조
<2021년 12월 31일 기준, 고등교육기관 취업률 특징> - 2022년 발표
1. 조사대상; '21년 2월 졸업자('20년 8월 졸업자 포함)
- 전국 일반대학, 교육대학, 산업대학, 전문대학, 각종학교, 기능대학 및 일반대학원의 2021년 2월 및 2020년 8월 졸업자 54만 9,295명을 대상으로 2021년 12월 31일 기준 취업 및 진학여부와 급여 수준, 취업 준비기간 등 취업 세부정보를 파악
2.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률 67.7%(2.6%p↑),유지취업률 79.7%(0.3%p↓)
3. 통계청과 협업하여 졸업자의 취업 후 1~3년간 일자리 이동 현황 및 경로를 다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일자리 이동통계’ 발표
※ 계열별 취업률, 질적 취업정보등 기타 세부내용은 붙임 보도자료 참조
<2020년 12월 31일 기준, 고등교육기관 취업률 특징> - 2021년 발표
1. 조사대상; '20년 2월 졸업자('19년 8월 졸업자 포함)
- 전국 일반대학, 교육대학, 산업대학, 전문대학, 각종학교, 기능대학 및 일반대학원의 2020년 2월 및 2019년 8월 졸업자 55만 3,521명을 대상으로 2020년 12월 31일 기준 취업 및 진학여부와 급여 수준, 취업 준비기간 등 취업 세부정보를 파악
2.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률 65.1%(2.0%p↓),유지취업률80%(0.2%p↓)
3. 통계청과 협업하여 졸업자의 취업 후 1~3년간 일자리 이동 현황 및 경로를 다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일자리 이동통계’ 발표
※ 계열별 취업률, 질적 취업정보등 기타 세부내용은 붙임 보도자료 참조
<2019년 12월 31일 기준, 고등교육기관 취업률 특징> - 2020년 발표
1. 조사대상; '19년 2월 졸업자('18년 8월 졸업자 포함)
- 전국 일반대학, 교육대학, 산업대학, 전문대학, 각종학교, 기능대학 및 일반대학원의 2019년 2월 및 2018년 8월 졸업자 55만 354명을 대상으로 2019년 12월 31일 기준 취업 및 진학여부와 급여 수준, 취업 준비기간 등 취업 세부정보를 파악
2.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률 67.1%(0.6%p↓), 유지취업률 80.2%(1.2%p↑)
3. 올해부터 통계청과 협업하여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일자리 이동통계’ 발표
※ 계열별 취업률, 질적 취업정보등 기타 세부내용은 붙임 보도자료 참조
<2018년 12월 31일 기준, 고등교육기관 취업률 특징>
1. 2018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중 전체 취업자는 33만 2,839명으로 67.7%의 취업률을 보였으며, 전년대비 1.5%p 증가
2. 학제별 취업률은 전문대학 71.1%, 대학 64.2%, 일반대학원 78.9% 등으로 나타남
- 전문대학 1.3%p, 대학 1.6%p, 일반대학원 1.2%p 중가
※ 계열별 취업률, 질적 취업정보등 기타 세부내용은 붙임 보도자료 참조
<2017년 12월 31일 기준, 고등교육기관 취업률 특징>
1. 2017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중 전체 취업자는 33만 7,899명으로 66.2%의 취업률을 보였으며, 전년대비 1.5%p 감소
2. 학제별 취업률은 전문대학 69.8%, 대학 62.6%, 일반대학원 77.7% 등으로 나타남
- 전문대학 0.8%p, 대학 1.7%p, 일반대학원 0.6%p 하락
3. 계열별 취업률은 의약계열 82.8%, 공학계열 70.1%만 전체 취업률(66.2%)보다 높게 나타남
- 전 계열이 전년 대비 하락 (인문 1.6%p, 사회 2.1%p, 교육 3.1%p, 공학 1.5%p, 자연 1.5%p, 의약 0.6%p, 예체능 0.6%p)
- 그 중 교육, 공학 계열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
4. 이번 조사부터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의 상세정보 연계를 통해 월 평균소득, 취업준비기간, 기업·산업유형별 취업자현황 등 질적 취업정보 신규 발표
- (월 평균소득) 분석 대상자의 평균 월 평균소득은 249.6만원으로 계열별로는 의약계열 283.5만원, 공학계열 279.0만원, 사회계열 241.1만원, 자연계열 237.5만원, 인문계열 220.1만원, 교육계열 207.8만원, 예체능계열 187.1만원으로 나타남
- (취업준비기간) 모든 계열에서 졸업 전(35.3%), 졸업 후 3개월 이내(24.7%) 순으로 나타남
- (기업유형별) 계열별 취업자 중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공공기관 및 공기업의 취업자 비중은 공학계열이 모두 높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사회계열이, 비영리법인은 의약계열이 높게 나타남
- (산업유형별) 계열별 취업자 비중은 인문계열은 도매 및 소매업, 사회계열·공학계열·자연계열·예체능계열은 제조업, 교육계열은 교육서비스업, 의약계열은 보건업과 사회복지서비스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기타 세부내용은 붙임 보도자료 참조
<2016년 12월 31일 기준, 고등교육기관 취업률 특징>
1. 2016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중 전체 취업자는 34만 9,584명으로 67.5%의 취업률을 보였으며, 전년대비 0.2%p 상승
- 최근 4년간 전체 취업률 변화 : 68.1%('12) -> 67.4%('13) -> 67.0%('14) -> 67.5%('15) -> 67.7%('16)
2. 학제별 취업률은 전문대학 70.6%, 대학 64.3%, 일반대학원 78.3% 등으로 나타남
- 전문대학, 일반대학원은 각각 1.1%p, 0.5%p 상승하였지만, 대학은 0.1%p 하락
3. 계열별 취업률은 의약계열 83.4%, 공학계열 71.6%만 전체 취업률(67.7%)보다 높게 나타남
- 대부분 계열이 증가 추세를 보였으나, 교육계열(△1.8%p)과 공학계열(△1.2%p)이 전년대비 감소
- 특히 공학계열 취업률 하락세가 6년간 계속되고 있음
※ 기타 세부내용은 붙임 보도자료 참조
유의사항
o 학과(전공) 분류체계(한국교육개발원, 2004년), 표준직업분류체계(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통계청) 체계를 적용하여 통계산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