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Quick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UNDP 인간개발지수(HDI) 순위 3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행렬전환
~ 조회 행렬전환

의미분석

지표설명

■ 인간개발지수(HDI)개념/의의 및 활용도

° 국제연합개발계획(UNDP)이 '90년부터 매년 각국의 교육수준과 국민소득, 평균 수명 등에 대한 성취 정도를 평가하여 국가별 인간개발 수준을 평가하는 지수로 활용함.

° 2009년까지 HDI 지수를 산출하는 세부지표는 기대수명, 성인문해율 및 총 취학률, 1인당 GDP 였으나, 2010년부터 기대수명, 평균교육년수, 기대교육년수, 1인당 GNI로 세부지표 변경됨.

° 각 순위 및 세부지표 수치는 인간개발보고서(HDR) 발표시점 기준으로(2022년도의 경우 2024.03.15.기준), 추후 관련 순위 및 수치가 변동될 수 있음.


지표해석

■ 인간개발지수 변동추이 분석

° 우리나라의 HDI 순위는 연도마다 다소 등락이 있으나, 인간개발지수(HDI)는 최근 증가 추세임.

° 기대수명(세) : 72.6세('00) ⇒ 81.5세('14) ⇒ 81.9세('15) ⇒ 82.1세('16) ⇒ 82.4세('17)⇒ 82.8세('18) ⇒ 83.0세('19) ⇒ 83.7세('21) ⇒ 84.0세('22)

° 1인당 GNI($) : 29,518('10) ⇒ 30,345('14) ⇒ 33,890('15) ⇒ 34,541('16) ⇒ 34,945('17)⇒ 36,757('18) ⇒ 43,044('19) ⇒ 44,501('21) ⇒ 46,026('22)


■ 국제간 비교(2022)



* 주1) 2011년에는 UNDP에서 OECD 평균을 내지 않고 순위별 4분위로 그룹지어 평균을 산출함.

주2) 순위별 4분위는 최상위국(very high human development), 상위국(high human development), 중위국(medium human development), 하위국(low human development)으로 구성되어 있고, 한국은 최상위국 그룹에 해당됨.

주3) HDI 지수 및 각 구성지표의 기준년도는 2022년 혹은 2022년에 근접한 연도로, 국가별 차이가 있음.

주4) 2021년 순위는 올해 업데이트 된 데이터베이스 상의 순위가 아닌 2021/2022 인간개발보고서(HDR) 보고서 인쇄본을 기준으로 2021년 대비 순위 변동을 비교함.

■ 향후전망 및 대책

°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꾸준히 증가하여(‘00년 72.6세 → ’22년 : 84.0세) 국가의 보건수준의 향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국민소득이 4만달러를 웃돌고 있어 향후 인간개발지수(HDI)가 나아질 전망임

° 기대수명이 점차 증가하여 고령화 사회의 도래에 따른 노인복지 및 고령자 인적자원개발 등 대비책 필요


관련용어

HDI(Human Development Index) : 국제연합개발계획(UNDP)이 매년 각국의 교육수준과 국민소득, 평균수명 등을 조사해 인간개발 성취 정도를 평가하는 지수

국민총소득(Gross National Income, GNI) : 국민총소득(GNI)은 한나라의 국민이 국내외 생산 활동에 참가하거나 생산에 필요한 자산을 제공한 대가로 받은 소득의 합계를 의미함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교육부, 교육데이터담당관실, 043-530-9674

최근 갱신일 :   2024-03-22(입력예정일 : 2024-12-31)

자료 출처 :   [Human Development Report(http://hdr.undp.org/en/statistics)]

공표 주기 :   1년

정책정보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