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인력수급 전망 3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 중장기 인력수급전망 개요

° 인력수급전망은 미래 노동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예측하여 국가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

° '07년부터 범정부 차원의 중장기 인력수급전망(10년 단위)을 실시


지표해석

◈ (수요 전망) 취업자는 ‘23년부터 ‘33년까지 31.2만명 증가하나, 경활인구가 감소하는 전망 후기부터는 감소 전망(지난 10년 증가폭의 1/10수준)
ㅇ 산업별로는 서비스업 중심(+61.3만명)의 취업자 증가가 예상되고, 제조(-15.1만명), 건설(-7.5만명), 농림어업(-9.3만명)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
ㅇ 직업별로는 전문가(+56.2만명), 서비스직(+40.6만명)이 가장 큰 폭 증가하고, 판매직(-34.1만명), 장치,기계조작(-19.9만명), 기능원(-11.2만명) 등에서 감소
ㅇ 15세이상 고용률은 ‘23년 62.6%에서 ’33년 61.7%로 0.9%p 하락 전망

◈ (공급 전망) 경제활동인구는 ‘23년부터 ’33년까지 24.8만명 증가하겠으나, ‘30년부터 감소할 전망, 지난 10년간 증가폭의 1/10 수준 이하로 감소
ㅇ 전망 전기에는 증가(’23~28년 +42.3만명)하나, 전망 후기(’28~33년–17.5만명)에 감소 전환
ㅇ 경제활동참가율은 경제활동참가 성향이 낮은 고령인구 증가(구성효과) 등으로 감소 지속


유의사항

o 산업분류는 한국표준산업분류 10차 개정, 직업분류는 한국표준직업분류 7차 개정 적용

관련용어

인력공급 :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연령의 인구.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조사 대상이 되는 15세이상 인구가 이에 해당됨.

인력수요 : 광의의 개념으로 취업자를 지칭. 노동시장에서 요구되는 (앞으로 계획된) 인력수요(일자리) 가운데 실제로 취업한 사람을 취업자라고 함. 엄밀하게는 취업자와 인력수요는 다른 의미이나 현재는 두 용어를 같은 의미로 사용.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고용노동부, 미래고용분석과, 044-202-7247

최근 갱신일 :   2025-03-26(입력예정일 : 2026-03-31)

자료 출처 :   한국고용정보원 인력수급전망팀

공표 주기 :   1년

연관지표

정책정보

주요정책자료
번호 제목 등록일
등록된 정책 자료가 없습니다.
관련 법령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