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Quick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노동조합 조직현황 2

그래프

통계표

~ 조회 행렬전환
~ 조회 행렬전환

의미분석

지표설명

■ 지표 개념

° 노동조합 조직률 : 조합원수 / 조직대상 근로자 * 100

* 조직대상근로자 : 임금근로자(상용,임시,일용)-노조가입이 금지된 공무원

° 노동조합수 : 단위노조(기업, 지역·업종·산별노조)+연합단체(총연합단체, 산업별연합단체)

■ 지표 의의 및 활용도

° 지표의의 및 활용도 : 노조 조직현황(조직률,노동조합수,조합원수 등)에 대한 통계를 산출하여 향후 노조조직화 경향 등을 예측하고 각종 노동정책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


지표해석

■ 노동조합 조직률 분석

° 노동조합 조직률은 11.8%로 전년 대비 1.1%p 증가

- 전체조합원수는 2,331,632명으로 전년대비 약243천명(11.6%) 증가하고 노조조직대상 근로자가 약 167천명증가



° 노조수는 5,868개소로 전년 대비 5.9%(371개소) 감소

° 조합원 수는 2,331천명으로 전년보다 243천명(11.6%) 증가

* 한국노총 : 조합수 2,307개소(39.3%), 조합원수 932,991명(40.0%)

* 민주노총 : 조합수 367개소(6.3%), 조합원수 968,035명(41.5%)

* 미가맹노조 : 조합수 3,121개소(53.2%), 조합원수 373,844명(16.1%)

* 공공노총 : 조합수 61개소(1.0%), 조합원수 35,202명(1.5%)

* 전국노총 : 조합수 12개소(0.2%), 조합원수 21,560명(0.9%)


■ 노동조합 조직률 변화추이

° 연도별 노조조직률은 1989년을 정점으로 지속적인 하락 추세를 보여 '10년에 최초로 한 자리수인 9.8%를

기록한 이래 '11년에 복수노조제도 시행 등의 영향으로 다시 10%대로 회복되었고, '18년에는 11.8%로 증가


■ 국제간 비교

° ’18년말 노조 조직률은 11.8%로 전년대비 1.1%p 증가

< 노조조직률 국제비교 >



유의사항

o 노동조합 수는 노동조합 설립신고 단위를 기준으로 산정한 것이므로 수 개 기업 소속 근로자로 구성된 초기업 노조(산업별.직종별.지역별 노조 등)의 경우에도 ‘1개소’로 산정되었음을 감안할 때 노동조합이 조직되어 있는 기업 수는 노동조합 수 보다 더 많음

관련용어

노동조합 조직률 : 전체 임금근로자수 대비 노동조합원 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

임금근로자수 : 상시근로자와 일용근로자를 합한 숫자를 의미
- 공무원은 제외(공무원은 2006.1월부터 노조설립 가능)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고용노동부, 노사관계법제과, 044-202-7610

최근 갱신일 :   2023-03-30(입력예정일 : 2023-12-29)

자료 출처 :   고용노동부 『전국 노동조합 조직현황』

공표 주기 :   1년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