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프
연도별 부족인원 및 부족률 _전산업(종사자 1인 이상)
기간선택
반기
202101
202102
202201
202202
202301
~
202101
202102
202201
202202
202301
조회
행렬전환
지표설명
■ 지표의 개념 ° 현 원 : 조사기준일(상반기:4.1., 하반기:10.1.) 당해 사업체의 모든 종사자(상용·임시일용근로자, 기타종사자) 수 ° 부족 인원 : 매년 당해 사업체에서 조사기준일(상반기:4.1., 하반기:10.1.) 현재 채용여부나 채용계획과 무관하게 사업체의 정상적인 경영과 생산시설의 가동, 고객의 주문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보다 더 필요한 인원 수 ° 부족률 = 부족인원 / (현원+부족인원)×100 ■ 지표의 의의 및 활용도 ° 외부 연구진들의 연구자료 활용 ° 인력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활용 등
지표해석
° (총괄) ’23.4.1. 기준 부족인원은 563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81천명(-12.6%) 감소, 인력부족률은 3.0%로 전년동기대비 0.5%p 하락 * 부족인원 추이(천명): ('22.4.1.) 645 →('22.10.1.) 623 → ('23.4.1.) 563 * 부족률 추이(%): ('22.4.1.) 3.5 →('22.10.1.) 3.4 → ('23.4.1.) 3.0 ° (산업별) 제조업(135천명), 도매 및 소매업(67천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60천명), 숙박 및 음식점업(56천명) 순임 - 인력부족률은 운수 및 창고업(6.2%), 숙박 및 음식점업(4.6%), 정보 통신업(4.1%), 제조업(3.5%) 순임 ° (직종별) 경영‧행정‧사무직(71천명), 운전‧운송직(58천명), 영업‧판매직(57천명), 음식 서비스직(56천명) 순임 - 인력부족률은 운전‧운송직(6.4%), 금속‧재료 설치‧정비‧생산직(5.2%), 제조 단순직(4.9%), 미용‧예식 서비스직(4.8%), 식품 가공·생산직(4.7%) 순임 ° (규모별) 300인 미만 사업체는 519천명, 300인 이상은 44천명임 - 인력부족률도 300인 미만(3.3%)이 300인 이상(1.6%)에 비해 높았음
유의사항
o 2021년 상반기 자료부터 조사대상을 확대(상용근로자 5인 이상 →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 o 2022년 상반기 자료부터는 잠정치로 "사업체노동력조사"가 최신 모집단 정보로 보정되면, 동 조사 결과도 보정될 예정임
부족률 : 매년 당해 사업체에서 조사기준일(상반기:4.1., 하반기:10.1.) 현재 채용여부나 채용계획과 무관하게 사업체의 정상적인 경영과 생산시설의 가동, 고객의 주문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보다 더 필요한 인원 수로 부족인원/(현원+부족인원)×100 으로 산출
부족인원 : 매년 당해 사업체에서 조사기준일(상반기:4.1., 하반기:10.1.) 현재 채용여부나 채용계획과 무관하게 사업체의 정상적인 경영과 생산시설의 가동, 고객의 주문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보다 더 필요한 인원 수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고용노동부, 노동시장조사과, 044-202-7252
최근 갱신일 : 2023-06-30(입력예정일 : 2024-01-05)
자료 출처 : 『직종별사업체노동력조사보고서』(매년7월말, 익년1월말)
공표 주기 : 반기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 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