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선택
시작시점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
종료시점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조회
기간선택
연도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조회
지표설명
■ 지표 개념 및 의의 ◇ 근속년수: 근로자가 현 사업체에 입사한 날로부터 조사대상 기준일까지 근무한 기간을 말하며, 다음 기준이 적용됨 ° 수습 및 견습기간 등은 근속년수에 포함 ° 휴직기간은 근속년수에 제외됨 ° 해고 또는 퇴직 후 일정기간을 경과하여 동일기업체에 재고용된 경우에는 이전에 고용되었던 기간은 근속년수에 제외 ° 실질적인 근무형태가 변경되지 않은 기업의 명의변경· 분할 · 합병 등인 경우 이 근무기간도 근속년수에 포함 ° 근속기간 중 고용형태가 정규직에서 비정규직, 또는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된 경우에는 전환 이전의 고용형태로 근무한 기간은 제외됨 ◇ 학력: 고등교육법 등 교육 관련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취득한 학위, 학력인정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며, 다음 기준이 적용됨 ° 중졸이하는 초등학교졸, 중졸 및 무학자를 포함 ° 대학원졸 이상은 대학원 석사과정 이상을 졸업한 자를 말함 ° 중퇴자는 차 하급학교 졸업으로 분류함 ※ 예시: 고등학교 중퇴는 중졸로 분류 ° 고등공민학교(중학교), 전수학교 등은 학력인정 정도에 따라 해당학교에 포함 ■ 지표의 의의 및 활용도 ◇ 근로자의 임금, 근로시간 등 근로조건을 직종, 학력별로 조사 · 파악하여 ° 복지노동행정 구현을 위한 노동정책 입안자료로 활용 ° 기업 근로자의 복지증진 및 임금체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지표해석
■ 기간별 증감 및 변동요인 ◇ 근로자의 평균연령은 '19년 42.6, '20년 42.9세, '21년 43.4세, '22년 43.8세, '23년 43.8세로 증가 추세임 - 근로자의 고령화 현상 반영 ◇ 평균근속년수는 '19년 6.7년, '20년 6.8년, '21년 7.0년, '22년 7.2년으로 증가 추세였으나, '23년 6.6년으로 감소 전환
유의사항
o 학력별임금격차 등에서 전년도와 비교시 근로자의 구성비 변화에 따른 영향을 감안해야 됨 ※ 남성고졸평균임금보다 여성고졸평균임금이 낮다고 가정하면 남.여의 임금상승률이 동일하더라도 임금이 낮은 여성의 근로자 비율이 높아지면 평균임금상승률은 여성의 근로자 비율에 영향을 받아 낮아짐
평균근속년수 : 실제로 해당 사업체에서 근무한 기간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고용노동부, 노동시장조사과, 044-202-7239
최근 갱신일 : 2024-05-28(입력예정일 : 2025-05-31)
자료 출처 :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보고서』
공표 주기 : 1년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 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