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프
근로자 평균 연령 및 근속년수
학력별 임금격차
기간선택
연도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조회
행렬전환
지표설명
■ 지표 개념 및 의의 ◇ 근속년수: 근로자가 현 사업체에 입사한 날로부터 조사대상 기준일까지 근무한 기간을 말하며, 다음 기준이 적용됨 ° 수습 및 견습기간 등은 근속년수에 포함 ° 휴직기간은 근속년수에 제외됨 ° 해고 또는 퇴직 후 일정기간을 경과하여 동일기업체에 재고용된 경우에는 이전에 고용되었던 기간은 근속년수에 제외 ° 실질적인 근무형태가 변경되지 않은 기업의 명의변경· 분할 · 합병 등인 경우 이 근무기간도 근속년수에 포함 ° 근속기간 중 고용형태가 정규직에서 비정규직, 또는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된 경우에는 전환 이전의 고용형태로 근무한 기간은 제외됨 ◇ 학력: 고등교육법 등 교육 관련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취득한 학위, 학력인정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며, 다음 기준이 적용됨 ° 중졸이하는 초등학교졸, 중졸 및 무학자를 포함 ° 대학원졸 이상은 대학원 석사과정 이상을 졸업한 자를 말함 ° 중퇴자는 차 하급학교 졸업으로 분류함 ※ 예시: 고등학교 중퇴는 중졸로 분류 ° 고등공민학교(중학교), 전수학교 등은 학력인정 정도에 따라 해당학교에 포함 ■ 지표의 의의 및 활용도 ◇ 근로자의 임금, 근로시간 등 근로조건을 직종, 학력별로 조사 · 파악하여 ° 복지노동행정 구현을 위한 노동정책 입안자료로 활용 ° 기업 근로자의 복지증진 및 임금체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지표해석
■ 기간별 증감 및 변동요인 ◇ 근로자의 평균연령은 '06년 37.5세, '08년 38.0세, '10년 39.0 세 ''12년 39.9, '16년 41.5세, '17년 41.6세, '18년 42.0세, '19년 42.6, '20년 42.9세, '21년 43.4세, '22년 43.8세로 증가 추세임 - 근로자의 고령화 현상 반영 ◇ 평균근속년수는 '06년 5.8년, '09년 6.2년, '11년 6.1년 '16년 6.4년, '17년 6.3년, '18년 6.5년, '19년 6.7년, '20년 6.8년, '21년 7.0년, '22년 7.2년으로 증가 추세임.
유의사항
o 학력별임금격차 등에서 전년도와 비교시 근로자의 구성비 변화에 따른 영향을 감안해야 됨 ※ 남성고졸평균임금보다 여성고졸평균임금이 낮다고 가정하면 남.여의 임금상승률이 동일하더라도 임금이 낮은 여성의 근로자 비율이 높아지면 평균임금상승률은 여성의 근로자 비율에 영향을 받아 낮아짐
평균근속년수 : 실제로 해당 사업체에서 근무한 기간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고용노동부, 노동시장조사과, 044-202-7239
최근 갱신일 : 2023-06-01(입력예정일 : 2024-05-31)
자료 출처 :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보고서』
공표 주기 : 1년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 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