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Quick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지정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1

그래프

통계표

~ 조회 행렬전환
~ 조회 행렬전환

의미분석

지표설명

■ 지정폐기물 개념 및 의의

° 지정폐기물은 사업장폐기물중 폐유.폐산 등 주변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거나 의료폐기물 등 인체에 위해를 줄 수 있는 유해한 폐기물로서 의료폐기물을 포함하여 총 25종이 이에 해당

° 이중 의료폐기물이란 보건의료기관, 동물병원, 시험검사기관 등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중 인체에 감염 등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폐기물과 인체 조직 등 적출물, 실험동물의 사체 등 보건환경보호상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폐기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임

° 의료폐기물의 발생원으로는 병.의원, 보건소 및 보건진료소, 조산원, 혈액원, 동물검역기관, 동물병원, 시험기관 및 연구소, 장례식장 등이 있음

° 사업장지정폐기물: 공정오니, 광재, 기타 폐유기용제, 분진, 소각재, 안정화 또는 고형화 처리물, 폐내화물 및 도자기조각, 폐농약, 폐산, 폐석면, 폐수처리오니, 폐알칼리, 폐유, 폐유독물, 폐주물사 및 폐사, 폐촉매, 폐페인트 및 폐락카, 폐합성고무, 폐합성수지, 폐흡착제 및 폐흡수제, 할로겐족유기용제, PCB함유 폐기물, 수은폐기물, 천연방사성제품폐기물 등 총 24종

° 의료폐기물: 격리의료폐기물, 조직물류폐기물, 병리계폐기물, 손상성폐기물 등이 있음

° 지정폐기물은 유해성분을 함유한 폐기물로써 특별관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OECD 등 국제기구에서도 많은 관심을 갖는 폐기물이며, 발생량 보다는 적정 관리와 처리가 중요


■ 지표의 활용

° 장래 폐기물의 발생량을 예측하고, 새로운 폐기물 관리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되며, 현행 폐기물 관리제도의 효과 검증에 활용

° 현재 환경부에서는 RFID를 이용한 의료폐기물 추적관리, 폐기물 적법처리 입증정보 시스템 등 지정폐기물의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음


지표해석

■ 지정폐기물 발생량 및 처리량

° '21년도 전체 지정폐기물 발생량은 총 16,381(톤/일)로 전년도(15,556톤/일) 대비 6.6%증가

- 이 중 사업장지정폐기물은 15,784(톤/일), 의료폐기물은 597(톤/일)임

° 지정폐기물 방법별 처리 현황을 보면, 재활용으로 10,695톤/일로 65.3%를 차지하며, 뒤이어 매립 2,416톤/일(14.7%), 소각 2,206톤/일(13.5%), 기타 1,065톤/일(6.5%) 순으로 각각 나타남


■ 의료폐기물 발생 업체수

° '21년 의료폐기물 배출업소수는 총 70,989개소 임

■ 향후 지정폐기물 정책방향

° 지정폐기물의 분류를 업종별, 공정별, 유해성분 등에 의해 명확히 분류함으로써 산업 배출공정별로 유해폐기물 배출 여부확인을 누구나 쉽게 확인하여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선진국 수준의 유해 폐기물 관리 체계를 구축


유의사항

o 발생 및 처리현황 자료는 지정폐기물 중 의료폐기물을 포함한 수치임

관련용어

지정폐기물 : 사업장폐기물중 폐유.폐산 등 주변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거나 의료폐기물 등 인체에 위해를 줄 수 있는 유해한 물질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폐기물

의료폐기물 : 지정폐기물중 인체조직 등 적출물, 탈지면, 실험동물의 사체 등 의료기관이나 시험.검사기관 등에서 배출되는 인체에 위해를 줄 수 있는 물질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폐기물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환경부, 한국환경공단, 032-590-4945

최근 갱신일 :   2023-02-14(입력예정일 : 2024-02-28)

자료 출처 :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2020년도)』

공표 주기 :   1년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