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가 온실가스 배출현황 17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 국가 온실가스 배출 통계의 개념

ㅇ 국가 온실가스 배출 통계는 국제 기준(2006 IPCC Guidelines 등)에 따라 작성된 분야별 배출 통계를 관장 부처(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에서 공식적으로 통보받아 작성

■ 국가 온실가스 배출 통계 의의 및 활용도

ㅇ 국가 온실가스 감축 의무부담에 관한 국제협상 시 우리나라 대응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 2024년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1990-2022) 공표 ('06, '96 IPCC 지침)료로 활용


지표해석

■ 국가 온실가스 배출 현황

○ ’22년 국가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724.3 백만톤으로 ’90년 대비 133.2% 증가, ’18년 대비 7.6%, 전년보다 2.3% 감소한 수준
- (분야별 비중) 총배출량 대비 에너지 86.9%, 산업공정 7.6%, 농업 3.2%, 폐기물 2.4%

□ 배출량 증감원인

○ 전년대비 에너지(2.6%↓), 산업공정(1.1%↓), 농업(0.5%↓), 폐기물(0.8%↓)

- (감소) 1)철강(에너지)(8.6백만톤, 10.9%↓), 2)화학(2.7백만톤, 10.6%↓), 3)공공 전기‧열 생산(2.6백만톤, 1.1%↓), 4)전자산업(1.9백만톤, 21.6%↓)

* 1)태풍 힌남노로 전로강 생산량 감소(6.4%), 2)국내 NCC 가동률 하락으로 에너지 소비량 감소(12.4%), 3)석탄‧가스 발전 감소, 4)불소계 온실가스 저감설비 효율 개선

- (증가) 1)오존층파괴물질의 대체물질 사용(2.8백만톤, 9.5%↑), 2)산림지(1.1백만톤, 2.6%↑)

* 1)냉장 및 냉방에서의 HFCs 순소비량(=생산+수입-수출) 증가(6.2%), 2)산불 피해 증가(51,721%)

□ 배출량 원단위

○ GDP당 배출량은 367.9톤/10억원으로, GDP는 전년대비 2.6% 증가한 반면 GDP당 배출량은 4.7% 감소


유의사항

o 온실가스 배출통계는 국제기준(2006 IPCC Guideline 등)에 따라 작성된 분야별 배출통계를 관장 부처(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등)에서 공식적으로 통보받아 작성하고 있음
o 국가 온실가스 감축 의무부담에 관한 국제협상 시 우리나라 대응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므로, 국내외 기관들의 자료요구 또는 통계자료 해석 등은 반드시 통계작성 및 관리기관과 협의하여 처리해야 함
o 본 통계표의 모든 수치는 반올림 값이므로, 일부 배출, 흡수원 항목별 합계와 총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음
o 본 통계표의 수치 중 전년도 통계 수치와 일치하지 않는 것은 활동자료의 개선이나 산정방법론의 변경으로 금년에 재계산했기 때문임


관련용어

온실가스 : 대기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기체 중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가스로, 제3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97)에서 채택된 교토의정서의 6개 온실가스(CO₂, N₂O, CH₄, HFCs, PFCs, SF6)를 감축 대상으로 명문화

NF3(Nitrogen trifluoride, 삼불화질소) : 반도체 및 액정표시장치(LCD) 공정장비 내 체임버를 세정하는 특수가스

PFCs(Perfluorocarbons, 과불화탄소) : 탄소와 불화의 화합물로, 전자제품과 도금산업 등에서 세정용으로 사용되며 우리나라는 주로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사용됨

SF6(Sulphur hexafluoride, 육불화황) : 전기제품, 변압기 등의 절연체로 사용되는 가스

CH₄(Methane, 메탄) : 에너지 연료연소로 배출되거나 유기물(비료, 분뇨, 폐기물, 하수)에 대한 미생물의 혐기성 분해로 발생

N₂O(Nitrous Oxide, 아산화질소) : 에너지 연료연소로 배출되거나 유기물(비료, 분료, 하수)의 질산화 및 탈질산화로 발생

LULUCF : Land Use, Land Use Change and Forestry, 토지이용, 토지이용 변화 및 임업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인벤토리) : 인간의 인위적 활동에 따른 온실가스의 배출원(sources)에 의한
배출량(emissions) 및 흡수원(sinks)에 의한 흡수량(removals)의 목록

기후변화에 대한 정부간 협의체(IPCC) : 기후변화에 대처하고자 세계기상기구와 유엔환경프로그램이 공동
으로 설립(1988년)한 정부간 협의체

총배출량 : 토지이용, 토지이용변화 및 임업(Land-Use, Land Use Change and
Forestry, LULUCF) 분야를 제외한 나머지 분야의 배출량을 합산한 값

순배출량 : 토지, 임업(LULUCF) 분야를 포함하여 합산한 배출량

난방도일 : 일 평균기온과 기준온도(18도)의 차이를 합산한 것으로, 건물의 난방 수용을 예측하는데 쓰임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043-714-7559

최근 갱신일 :   2025-01-03(입력예정일 : 2025-12-31)

자료 출처 :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www.gir.go.kr)

공표 주기 :   1년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