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부품 : 단일 또는 복수의 전기적 현상을 발휘하거나 정보통신기기의 기능을 발휘하는 데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제품을 말한다. 즉, ICT부품은 정보통신기기에 사용되는 최소의 구성요소로서, 완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소재 이후부터 최종 가동단계인 조립단계 이전까지 투입되는 모든 중간재를 말한다.
컴퓨터 및 주변기기 : 우리 생활 주변에서 활용되는 각종 정보들을 처리하거나 처리된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 및 관리해주는 기기이다. 정보기기는 주로 웹(Web)을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수용하고 활용 할 수 있는 컴퓨터와 다양한 주변기기로 분류된다.
통신 및 방송기기 : 통신기기는 크게 유선통신기기와 무선통신기기로 분류 할 수 있다. 먼저 유선통신기기 부문은 유선전화기, 교환기, 전송기기, 유선전신기기, 전선 및 광섬유케이블, 네트워크장비, 유선통신기기 부분품 그리고 기타유선통신기기로 구성된다. 무선통신기기 부문은 무선통신단말기, 무선통신시스템, 무선통신송수신기, 무선통신기기 부분품, 기타 무선통신기기로 구성된다. 방송기기는 크게 지상파방송송수신기기, 유선방송송수신기기, 위성방송송수신기기, 방송국용기기, 방송기기부분품 등 5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제작장비, 송출장비, 송신장비, 수신장비의 4개 대분류로 나누고, 이를 중분류로 분류하기도 한다.
영상 및 음향기기 : 전기·전자의 원리를 응용하여 가정과 개인의 소비를 목적으로 한 내구재 제품을 말하는데 그 중에서도 정보전달을 위한 텔레비전 및 라디오 시청을 위한 기기이다.
정보통신응용기반기기 : 정보통신응용기반기기는 정보를 활용/파악하고, 이를 전송/통신하기 위한 ICT 소자들을 이용하여 인간 활동과 사회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한 기기 또는 장비로서 그 대표 품목으로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전기밥솥, 복사기, 초음파진단기, 자판기, 계측기, 전자시계, 전구 및 조명기기, 교통통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정보통신응용기반기기는 크게 가정용기기와 사무용기기, 의료용기기, 계측/제어/분석기기, 전기장비로 분류 할 수 있다.
무선통신서비스 : 무선통신은 통신 케이블을 사용하는 유선통신과는 달리 공간을 전송매체로 하여 송신측에서 정보신호를 전파에 실어 공간에 방사하고, 수신측에서는 공간을 거쳐 전송되어온 전자파를 수신하여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는 방식의 통신서비스를 지칭한다. 즉 무선통신은 전파를 전송매체로 이용하여 모든 종류의 기호, 신호, 문자, 영상, 음향 등의 정보를 송신 하거나 수신하는 서비스이다.
무선통신을 서비스에 따라 분류하면, ① 육상 이동통신: 이동전화(Mobile Phone), 무선전화(CT: Cordless Telephone), 무선데이터, 주파수공용통신(TRS: Trunked Radio System), 무전기, ② 해상 이동통신: 선박전화, 항만무선전화, ③ 항공 이동통신: 항공무선전화, 공항무선전화로 구분된다.
통신판매 및 중개서비스 : 기간통신사업자의 전기통신회선설비 등을 이용하여 유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선통신재판매와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재판매로 구분한 2011년 개정안을 유지, 유선통신재판매 하위분류로 유선전화, 인터넷접속서비스, 국제회선재판매 등을 유지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무선통신재판매서비스는 음성과 데이터로 구분하여, 정부가 이동통신시장의 경쟁활성화 방안으로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MVNO 서비스를 반영한 2011년 개정안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방송서비스 : 방송은 방송프로그램을 기획/편성 또는 제작하여 이를 시청자에게 전기통신설비에 의하여 송신하는 것으로서 텔레비전방송, 라디오방송, 데이터방송, 이동멀티미디어방송을 말한다(방송법 제2조).
방송서비스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시사 등에 관한 보도, 논평 및 여론과 교양, 음악, 오락, 연예 등을 공중에게 전파함을 목적으로 방송국이 행하는 무선통신의 송신서비스이며, 전파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람에게 프로그램을 정규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정보서비스 : 신분류체계에서는 분산되었던 인터넷 서비스를 통합하여 정보인프라서비스, 정보매개서비스 정보제공서비스로 신설하여 분류체계를 정비하였다. 정보인프라 서비스는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정보교환 등의 목적을 위해 시스템 기반을 구축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정보매개서비스는 광고제공서비스(웹서치포털), 정보매개(웹서치포털)로 구성되며, 정보제공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하여 영상정보, 음향정보, 출판정보, 인터넷교육, 뉴스 및 전문 정보, 광고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와 원격제어서비스, 전자지불서비스, 신용카드 검색, 온라인 예약 서비스 등 정보제공 응용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및 디지털콘텐츠 :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 2조에서 정의된 “소프트웨어”라 함은 컴퓨터/통신/자동등의 장비와 그 주변장치에 대하여 명령/제어/입력/처리/저장/출력/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하게 하는 지시/명영(음성이나 영상정보 등을 포함한다)의 집합과 이를 작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기술서 기타 관련 자료로 정의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 산업”이라 함은 소프트웨어의 개발/제작/생산/유통 등과 이에 관련된 서비스 및 정보화촉진기본법 제15조의2의 규정에 의한 정보시스템의 구축/운영 등과 관련된 산업으로 정의되고 있다.
또한 디지털콘텐츠 산업은 디지털과 콘텐츠가 결합한 개념으로 기존의 아날로그 형태로 존재하던 텍스트, 음성, 영상, 화상 등 각종 정보를 디지털화한 콘텐츠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하드웨어와 네트워크의 빠른 성장세에 신수요가 급격히 팽창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최근 디지털 가전의 보급확산과 기능통합을 통해 다가오는 유비쿼터스 시대에 최적화 할 수 있는 산업으로서 각광 받고 있다. 특히 무한한 사이버공간에서 e-Book, e-Music, 웹캐스팅 등 신규 컨텐트가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어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범위가 확장될 것이다.
이에 신분류체계는 소프트웨어의 특성을 반영, 패키지 소프트웨어와 IT서비스를 비롯하여 디지털콘텐츠 개발/제작을 포괄하고 있다.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산업정책과, 044-202-6214
최근 갱신일 : 2025-08-04(입력예정일 : 2026-03-06)
자료 출처 : ICT실태조사 및 ICT주요품목동향조사
공표 주기 : 1년
번호 | 제목 | 등록일 |
---|---|---|
2 | 2023년_ICT주요품목_동향조사_11월호.pdf | 2024-02-16 |
1 | 190527 조간 (보도) 2018년 ICT주요품목동향조사 결과 발표.hwp | 2020-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