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산불피해현황 19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목적]

우리나라는 연평균(15~24년 평균) 546건의 산불이 발생하여 4,003ha의 산림이 소실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기후변화 등의 원인으로 전 세계적으로 초대형 산불이 자주 발생하여 산불이 범국제적 재난으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산불은 큰 피해에 비해 원인은 사소한 부주의로 발생하고 있으므로 이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일일 것이다.

따라서 산불통계는 국민들에게 산불조심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유관기관에는 정책자료 등으로 활용하여 산불발생을 근원적으로 줄이는 데 목적이 있다.

[지표설명]

■ 지표 개념

o 산림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화재를 산불이라 하며 산불의 발생 시기, 원인, 지역 등을 분석하여 산불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산불방지 대책의 기본 활용자료

■ 지표 의의 및 활용도

o 산불발생 및 피해현황 등을 분석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고 산불에 대한 대국민 경각심 고취를 목적으로 함
- 산불건수는 산림 내에서 발생한 산불건수를 정리한 것으로 초지, 묵밭화재 등은 포함되지 않음
- 산불피해액은 산림 피해액으로 일반 가옥, 가축, 시설물에 대한 피해는 포함되지 않음(11년까지)


지표해석

■ 산불발생 여건

o 2024년은 건조일수, 강수량 감소했지만 기후변화에 따라 산불위험 지속
- 강수량 및 일수 : 1,368㎜, 114일(예년 1,276㎜, 104일, ’23년 1,692㎜, 108일)
- 건조특보 발령일수 : 78일(예년 131일, ’23년 136일)

■ 산불발생 현황

가. 총괄
o 발생건수 546건 산림피해 131.94ha 발생
- 산불발생건수는 최근 10년 평균(546건) 대비 49% 감소
- 산림피해 면적은 최근 10년 평균(4,003ha) 대비 97% 감소

나. 시기별
o 봄철(2.1~5.15)에 158건 발생, 산림 77ha 피해로 건수의 57%, 피해면적의 58% 집중
- 월별 발생건수 최다 3월 74건(27%), 최대피해 3월 42ha(32%)
o 산불조심기간 외 산불은 89건(32%)으로 산불의 연중화 ㆍ대형화 심화
o 가을철 산불조심기간(11.1∼12.15)중 32건 발생, 예년대비 건수 20% 감소
o 야간산불 발생건수는 26건으로 예년 68건 대비 62% 감소

다. 원인별
o 주요원인은 입산자 실화(18%), 논ㆍ밭두렁 및 쓰레기소각(19%)

라. 지역ㆍ규모별
o 건조한 날씨와 강풍으로 경기, 충남, 경북 산불피해 집중
- 중부 및 영동지역 건조로 경기(82건), 충남(35건), 경북(31건)의 산불 발생


유의사항

산불통계는 산림보호법 제36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32조 규정에 의한 피해보고에 근거를 하고 있는 행정통계 입니다.

관련용어

피해재적 (㎥) : 피해지 내 가슴높이지름 6cm 이상 피해입목을 조사하여 부피로 환산한 수량

피해액 : 직접피해액(입목피해 등)
복구비(조림 및 응급복구)
진화비용(인력 및 헬기 진화비용)
공익비용(공익적 손실)
※11년부터 피해액 산정방식이 달라졌으며 그에 따라 증가
기타 세부적인 사항은 산불통합관리규정 참조

건당피해 : 피해면적 ÷산불발생 건수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산림청, 산불방지과, 042-481-8896

최근 갱신일 :   2025-03-19(입력예정일 : 2026-03-31)

자료 출처 :   『산불통계연보』(매 익년 2월 ), 『임업통계연보』(매 익년 10월 초)

공표 주기 :   1년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