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내조림 및 숲가꾸기 현황 0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 조림 및 숲가꾸기 개념 및 특징

° 조림면적(㏊) : 산주, 국가 또는 지자체가 산림내 목재생산 및 소득, 경관 목적 등으로 나무를 심은 면적을 연간 ㏊단위로 표시
° 숲가꾸기면적(㏊) : 산주, 국가 또는 지자체가 산림내 조림목에 대한 풀베기, 덩굴제거, 어린나무가꾸기, 솎아베기 등 생육단계별로 나무를 가꾸어 주는 면적을 연간 ㏊단위로 표시
° 숲가꾸기 사업의 특징
- 숲가꾸기는 한 번의 사업실행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조림 후 1~5년간 풀베기, 조림 후 5~10년에는 어린나무가꾸기, 이후 10년 간격으로 1~3회의 솎아베기 등 반복적인 사업을 추진
- 반복적 사업에 따라 숲가꾸기 사업면적은 연면적 개념으로, 숲가꾸기가 실행된 산림면적은 이보다 훨씬 적은 것으로 나타남
- 과거에는 목재생산 위주의 숲가꾸기를 실행하였으나 현재는 목재생산과 함께 산림의 다양한 기능(수원함양림, 산지재해방지림, 자연환경보전림, 산림휴양림, 생활환경보전림)이 최적화 되는 기능별 숲가꾸기를 시행하고 있음

■ 지표의 의의 및 활용도

□ 조림사업

o 지속가능한 산림경영과 산림의 경제,사회,환경적 다양한 기능들이 발휘될 수 있도록 지역특색에 맞는 다양한 조림
- 지역특성과 산주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맞춤형 조림 추진
- 목재생산을 위한 경제수 조림은 수종을 단순화, 집단화하고, 단기소득을 위한 특용수, 유휴토지 조림 등은 지역특색에 맞는 다양한 조림 추진
- 재질이 뛰어난 금강소나무림을 육성보전하고 후계림 육성사업 추진

□ 숲가꾸기

o1970년대 이후 조성된 산림을 경제, 환경, 공익적 가치가 높은 산림자원으로 육성
o 산림의 다양한 가치와 편익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기술적, 생태적 숲가꾸기 추진
o 농산촌의 취약계층, 저소득층 및 청년 실업자를 숲가꾸기 사업에 고용하여 사회적 일자리 창출에 기여


지표해석

■ 조림사업

□ 조림 실적

° 1.2차 치산녹화 기간인 ‘73~’87년까지 15년간 200백만ha의 황폐된 산림에 치산녹화사업을 완수하였으며, 매년 13만ha에 속성수, 유실수, 연료림 위주로 조림 실시
° 3차 자원화계획 기간인 ‘88~’97년까지 10년간 경제개발과 환경보전의 조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경제수(장기수)위주의 조림을 매년 3만ha씩 식재
° 4차 산림기본계획 기간인 ‘98년 이후부터 산불피해지, 수종갱신 대상지 위주로 매년 2만ha(5천만본)에 수원함양조림·가시권지역의 경관조림, 산주의 소득증대를 위한 특·약용수 조림 등 다양한 조림 실시
° 수종별 조림 실적은 크게 침엽수(소나무,잣나무, 편백, 해송 등)와 활엽수(상수리, 백합, 자작, 밤나무, 느티 등)로 구분하였으며, 2001년부터 활엽수 조림 면적이 침엽수 조림 면적 보다 증가
° 소유별 조림실적은 크게 민유림(사유림, 공유림), 국유림으로 구분하였으며, 벌채지 및 수종갱신지가 많은 민유림이 국유림에 비해 조림 사업량이 많음

□ 조림사업의 외국 및 민간 사례


□ 조림사업 중점 추진 방향
- 목재수급 측면에서 영급별 면적이 균형을 이루도록 추진
- 현재 영급분포 불균형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조림면적 확대 필요
- 제5차 산림기본계획 기간 중 조림계획 : ('08) 19천ha → ('09) 21천ha
- 제6차 산림기본계획 기간(2018~2037) 중 조림계획 : ('18) 22천ha → ('37) 25천ha
* 현재 22천ha 수준의 조림 물량을 계획 기간 중 연간 25천ha 규모로 확대

■ 숲가꾸기 현황

□ 시대별 숲가꾸기 추진방향

° 제1,2차 치산녹화 기간('73~'87)에 전국의 황폐된 산림에 녹화사업을 완수
° "88~'97년까지 제3차 산지자원화 계획에 따라 녹화된 산림의 자원화와 조림지의 사후관리를 위해 숲가꾸기 사업을 실시
° 4차 산림기본계획 기간('98~'07) 추진 중 외환위기 경제 위기 때('98)에 실업자를 숲가꾸기에 대대적으로 투입하는 숲가꾸기 공공근로사업('98~'02)을 추진하여 연평균 13천명의 실업자를 고용하고 436,591ha의 숲을 가꾸는 등 산림정책을 ‘심는 산림정책’에서 ‘가꾸는 산림정책’으로 바꾸는 전환점을 마련
° 본격적인 숲가꾸기를 위해 산림조사를 실시한 결과('02) 시급히 가꾸어야 할 산림이 215만ha로 조사됨에 따라 ‘숲가꾸기 5개년 추진계획’을 수립하여 추진
* 1단계 숲가꾸기 5개년 추진계획(2004~2008) : 100만ha 숲가꾸기 추진
* 2단계 숲가꾸기 5개년 추진계획(2009~2013) : 125만ha 숲가꾸기 추진
* 3단계 숲가꾸기 5개년 추진계획(2014~2018) : 124만ha 숲가꾸기 추진
* 4단계 숲가꾸기 5개년 추진계획(2019~2023) : 110만ha 숲가꾸기 추진 계획
° 또한, 숲가꾸기사업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숲가꾸기 설계·감리 제도를 시행하고 있음.

□ 숲가꾸기 사업의 중점 추진 방향
ㅇ 성과목표
- 산림을 경제.환경적으로 가치 있는 국가자원으로 육성
- 현장과 기술 중심의 숲가꾸기로 산림기능 최적 발휘
- 설계.감리제도 및 모니터링을 확대하여 품질관리를 강화
ㅇ 추진방향
- 「제4단계 숲가꾸기 5개년 계획」에 의한 사업 추진(2019~2023) : 110만ha
* 큰나무가꾸기 : 47만ha
· 경제림가꾸기 : 24만ha
· 공익림가꾸기 : 23만ha

* 조림지 사후관리 : 63만ha
· 조림지가꾸기 : 55만ha
· 어린나무가꾸기 : 8만ha
- 사회적 일자리 확충사업인 공공산림가꾸기 : 7천명


유의사항

o 숲가꾸기는 한 번의 사업실행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조림 후 2~5년간 풀베기, 조림 후 5~10년에는 어린나무가꾸기, 이후 10년 간격으로 2~3회의 솎아베기 등 반복적인 사업을 추진해야 함
o 반복적 사업에 따라 숲가꾸기 사업면적은 연면적 개념으로 숲가꾸기가 실행된 산림면적은 이보다 훨씬 적은 것으로 나타남


관련용어

조림 면적 : 산림법 제2조의 산주, 국가가 산림내에 목재생산 및 소득, 경관목적등으로 나무를 심은 면적을 ha단위로 표시

장기수(長期樹) : 경제수 조림목에 대한 용어로써 경제적 가치목으로 성장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수종을 말함(강송, 잣나무, 낙엽송, 편백, 참나무류 등)

속성수(速成樹) : 경제수 조림목에 대한 용어로써 경제적가치목으로 성장속도가 빠른 수종을 말함(이태리포플러, 현사시, 양황철, 오동나무등)

경제수 조림 : 목재생산목적의 장기수조림과 소득목적의 특용수 조림을 포함한 조림

실생묘(實生苗) : 종자를 파종하여 생산된 묘목중 상체(床替)한 적이 없는 묘목

수원함양조림 : 5대강유역 양안 집수구역내에 뿌리의 양이 많은 잎이 넓은 활엽수를 식재하여 물저장기능증진시키는 조림

경관조림 : 생활권주변에 환경개선 목적으로 느티나무, 단풍나무 등 경관목적으로 조림

특.약용수 조림 : 산주의 소득증대 목적으로 수실, 수액 식용, 약용수종을 식재하는 조림

활착률(活着率) : 산에 식재한 묘목중 살아있는 묘목본수의 비율(생존본수/식재본수*100%)

숲가꾸기 : 나무의 생장 촉진 및 재질 향상을 도모하고 건강한 숲을 만들기 위하여 풀베기, 덩굴제거, 어린나무가꾸기, 솎아베기 등 생육단계별로 나무를 가꾸어주는 작업을 말하며, 사업면적으로 나타냄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 산림자원과, 042-481-4157

최근 갱신일 :   2025-03-06(입력예정일 : 2026-02-28)

자료 출처 :   임업통계연보(매 익년 9월 초)

공표 주기 :   1년

정책정보

주요정책자료
번호 제목 등록일
등록된 정책 자료가 없습니다.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