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전국연안 수질(COD)현황 1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 COD(Chemical Oxygen Demand, 화학적산소요구량) 개념

물의 유기물에 의한 오염정도를 나타내는 분석 항목으로, 유기물 등의 오염물질을 산화제로 분해시키는데 소비되는 산소량을 mg/L로 나타낸 것임

물속에 들어 있는 유기물, 아질산염, 제1철염, 황화물 등은 물 속에 녹아 있는 산소를 소비하는데, 이런 물질이 많이 들어 있으면
물속의 산소가 없어져 물고기와 미생물이 살 수 없게 되고 물이 썩어 고약한 냄새가 나고 물 색깔이 검게 변하면서 오염된 물이 됨

물속에 있는 유기물은 과망간산칼륨이나 중크롬산칼륨 등의 수용액을 산화제로 넣으면 유기물이 산화 분해되는데,
물이 많이 오염될수록 유기물이 많으므로 그만큼 산화 분해에 필요한 산소량도 증가한다. 따라서 COD 농도가 클수록 물의 오염은 심각해짐

■ COD(Chemical Oxygen Demand, 화학적산소요구량) 의의 및 활용도

- 해수의 유기물 오염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COD(Chemical Oxygen Demand, 화학적산소요구량)가 이용됨
- 일반적으로 담수는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생물학적산소요구량)을 유기물 지표로 사용하지만,
해수는 BOD 측정이 불가하여 COD를 사용함


지표해석

■ 연안수질 현황

° 최근 10년('11년~'20년) 동안 우리나라 연안의 COD 농도는 연평균 1.13~1.82 mg/L 범위로 분포하였음
- 우리나라 연안은 중국, 일본, 러시아 등으로 둘러싸여 오염압력이 높은 편이나 동해, 남해의 깊은 수심과 활발한 해수순환 및 서해의 넓은 갯벌과 조수간만의 차이 등의 영향으로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태임..
- 동해안의 COD 농도는 연평균 0.74~1.37 mg/L로 전국연안의 평균농도 범위 이하이며, 남해안은 0.99~1.82 mg/L, 서해안은 1.46~2.18 mg/L로 동해, 남해, 서해안 순으로 수질의 상태는 비교적 양호함.

■ 향후 방향

°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을 위해 제5차 해양환경 종합계획을 마련하고('20.11),
깨끗한 수질이 유지되는 청정한 바다를 위해 육상기인 오염물질 저감 및 해역의 해저퇴적물 오염 개선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음


유의사항

o COD는 알카리성 과망간산 칼륨법에 의한 측정수치임(단위 : mg/L)
o COD값이 높을 경우 대부분 수질이 악화된 상태를 보이지만 일시적인 플랑크톤 이상증식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장기간의 추이를 보고 수질현황을 파악해야 함


관련용어

화학적산소요구량 : 강산화제로 해수중의 유기물이 산화될 때 소모되는 산소의 양을 측정한 값으로서 유기물 분해시 요구되는 산소량을 의미함
- COD는 절대농도의 개념보다는 간접적으로 수질중 유기물 상태를 표현하는 지표로서 현재까지는 수질현황을 파악하는데 가장 많이 이용되는 분석항목임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해양수산부, 해양환경정책과, 044-200-5288

최근 갱신일 :   2025-09-18(입력예정일 : 2026-02-27)

자료 출처 :   『한국해양환경조사연보』(매년 3월), 해수수질실태보고(국가승인통계, 123019)

공표 주기 :   매년(입력예정일 : 매년 2.28)

정책정보

주요정책자료
번호 제목 등록일
등록된 정책 자료가 없습니다.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