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자가점유비율 13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 자가점유비율 개념

자가점유비율은 일반가구중 자신이 소유한 주택에서 자신이 살고 있는 주택의 비율을 의미
* 자가보유율과 주택보급률과는 다른 개념임에 유의
- 자가보유율 : 거주여부와 관계없이 주택을 소유한 가구의 비율
- 주택보급률 : 주택수(다가구 구분거처 반영)/일반가구수×100

■ 자가점유비율 의미 및 활용도

ㅇ 자가점유비율의 의미는 특정국가 또는 특정지역에 있어 주택재고가 그곳에 거주하고 있는 가구들의 수에 비하여
얼마나 부족한지 또는 여유가 있는지를 총괄적으로 보여주는 주택보급률의 양적지표로서만의 기능의 한계점을
보완하는 역활을 함
- 주택보급률이 비슷한 지역이라도 상이한 자가점유비율이 나타나는 지역이 있을 경우 양 지역 간의 점유하는
주민들의 주택의 개념에 대한 사고방식이나 외지 거주자의 비율, 다주택자의 비율, 전월세 비율, 잠재수요자
파악과 같은 각종 거주형태,구조, 배분비율등을 알 수 있는 지표로 활용


지표해석

■ 자가점유비율 추이

ㅇ 가구의 점유형태에 따른 자가점유율이 ‘70년 이후 ’90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다 ‘95년 53.3%로 증가하였으며 '00년에는 54.2%로, '05년에는 55.6% 증가하였으나, '10년에는 54.2%로 1.4%p 감소하였고, `15년에 56.8%로 증가하였고, `20년도 57.3%로 증가

* 자가점유율:71.7%(‘70년) → 58.6%(’80년) → 49.9(‘90년) → 53.3%(’95년) → 54.2%('00년)→ 55.6%('05년)→54.2('10년)→56.8('15년)→57.3(`20년)
- 자가점유율이 '90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95년 53.3%로 증가한 것은 내집마련이 점차 어려워지다가 주택
200만호 계획(‘88~’92) 완료 이후 내집마련 여건이 개선되었음을 시사
- 지속적인 주택공급확대에도 불구하고 '10년에는 자가점유율이 54.2%로서 ’00년 및 '05년에 비하여 크게 개선되지 못한 것은 가구분화, 직장 등의 사유로 자가보유가구의 차가거주 비율 증가 등이 원인이 된 것으로 추정됨
- `15년부터 `20년까지는 정부의 공급확대정책 등으로 인해 자가점유율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됨


■ 국제비교

ㅇ 국제비교결과 일부 선진국에서도 자가점유율이 60% 대에서 정체되고 있는 모습을 보임
* 영국('07년) : 71%, 미국('11년1/4분기) : 66.4%, 일본('08년) : 61.2%, 프랑스('04년) : 54.1%
(외국의 경우 자가보유율, 점유율을 구분하여 산정하지 않음)

■ 시사점

ㅇ 향후 지속적인 주택공급정책과 더불어 자가마련을 위해 금융 등 간접지원 정책도 병행하여야 함을 시사


관련용어

자가점유비율 : 일반가구중 자신이 소유한 주택에서 자신이 살고 있는 주택의 비율

자기집 : 법률상 소유여하를 불문하고 실제 가구원소유로 되어 있는 집

전세 : 일정액의 현금 또는 기타 방법으로 전세금을 내고 계약기간 사용하는 경우로 월세를 내지 않는 경우

무보증월세 : 보증금 없이 매월 집세를 내는 경우

사글세 : 미리 몇 개월치 집세를 한꺼번에 내고 그 금액에서 매월 1개월분의 집세를 공제하는 경우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국토교통부, 주택정책과, 044-201-4089

최근 갱신일 :   2025-03-14(입력예정일 : 2026-12-31)

자료 출처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공표 주기 :   5년

정책정보

주요정책자료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