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설명
■ 건축물 개념
건축물이란?
토지에 정착하는 공작물중 지붕과 기둥 또는 벽이 있는 것과 이에 부수되는 시설물, 지하 또는 고가의 공작물에 설치하는 사무소, 공연장, 점포, 차고, 창고, 기타 대통령령이 정하는 것
■ 건축물 현황의 의의 및 활용도
전국의 건축물에 대한 구체적인 현황을 파악하여 경제동향 및 건축경기 예측을 통한 정책수립의 기초자료 등으로 활용
■ 수치해석방법
17개 시도의 용도별(주거용, 상업용, 공업용, 교육사회용, 기타) 현황을 합한 수치임. 백분율은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 면적은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한 수치임.
지표해석
■ 건축물 증감 추이
° '90년도 후반 이후 주거용 건축물은 완만한 감소를 보이고 있으나, 상업용 건축물은 1984년 대비 2006년 현재 166%의 건축물 증가가 이루어 졌음
- 1984년 대비 2007년 현재 상업용 164%, 공업용 131%증가는 우리 경제활동에 많은 신장이 이루어졌음을 간접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상업용은 주상복합 등 부동산 자금의 대거유입 등으로 부동산 투기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음
-주거용의 동수감소는 수도권에서의 대규모 택지개발 및 재개발, 도시정비사업 등 기존 여러동의 일반건축물 (단독주택)이 철거되고, 대단지의 집합건축물(아파트)로 신설되는 추세에 따라 감소로 나타나고 있으며, 신설되는 택지개발지구 등의 주거지역에서 상업용 건축물이 신축되어 증가현상으로 나타남
-이에 따라 1993년도 조사에서 1990년 대비 건축물이 10.6%감소한 것은 '90년 초까지 수도권 5대 신도시의 100만호 건설 사업으로 건축물 감소가 주요원인
° '07년말 기준, 전국의 건축물은 6,460,489동으로 전년(’06)에 비해 2.7% 증가하였으며, 용도별로는 주거용이 67.6%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됨
- 층수별 현황 : '07년 기준으로 1층 건물이 64.5%로 가장 많으며, 5층이상 고층건물의 비율이 전년에 비해 7% 증가하였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층수의 건축물로는 서울시 강남구의 타워팰리스와 양천구의 현대하이페리온으로 각각 69층의 주상복합건물인것으로 조사됨(높이로는 타워팰리스가 263m, 하이페리온이 251m임)
-> 31층이상의 건축물이 수도권(서울,경기) 및 부산에 집중되는 것은 최근 주상복합아파트의 공급의 증가가 주요원인
- 규모별 현황 : 연면적 1백㎡미만의 건축물이 전체건물의 50.0%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그 다음으로는 1백-2백㎡미만의 건축물이 23%로 많음.
° '09년말 기준, 전국의 건축물은 6,618,131동으로 전년(’08)에 비해 0.9% 증가하였으며, 용도별로는 주거용이 67.7%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됨
- 소유구분별 현황 : 개인 소유 건축물이 전년('08년)에 비해 4.2% 감소하였음
° '10년말 기준, 전국의 건축물은 6,676,518동으로 전년('09)에 비해 0.9%증가하였으며, 용도별로는 주거용이 67.2%로 가장 많은것을 조사되었으며, 공업용이 250,416동으로 전년('09년 242,593동)에 비해 3.2% 증가하여 가장 많은 증가추세를 보인것으로 조사됨
° '11년말 기준, 전국 건축물은 6,731,787동, 면적은 3,295,105천㎡(서울면적의 약 5배, 서울:6억5백만㎡)로, 용도별로 살펴보면 주거용이 전체의 67.3%인 4,529,464동, 상업용이 17.0%인 1,142,766동, 공업용이 3.8%인 258,744동, 문교ㆍ사회용이 2.5%인 170,284동 으로 나타남
° '12년말 기준, 전국 건축물은 6,796,239동, 면적은 3,341,819천㎡로 전년 대비 건축물 동수는 64,452동(1.0%) 증가하고, 면적은46,714,876㎡(1.4%) 증가하였으며, 용도별로 살펴보면 주거용이 1,554,491천㎡(46.5%)으로 가장 많고, 상업용 701,112천㎡(21.0%), 공업용 332,087천㎡(9.9%), 문교·사회용 289,713천㎡(8.7%) 순으로 조사됨
° '13년말 기준, 전국 건축물은 6,851,802동, 면적은 3,376,649천㎡로 전년 대비 건축물 동수는 55,563동(0.8%) 증가하고, 면적은 34,829천㎡(1.0%) 증가하였으며, 용도별로 살펴보면 주거용이 1,574,853천㎡(46.6%)으로 가장 많고, 상업용 689,053천㎡(20.4%), 공업용 344,581천㎡(10.2%), 문교·사회용 295,806천㎡(8.8%) 순으로 조사됨
° '14년말 기준, 전국 건축물은 6,911,288동, 면적은 3,451,351천㎡로 전년 대비 건축물 동수는 59,486동(1.0%) 증가하고, 면적은 74,702천㎡(1.4%) 증가하였으며, 용도별로 살펴보면 주거용이 1,608,411천㎡(46.6%)으로 가장 많고, 상업용 709,840천㎡(20.6%), 공업용 349,896천㎡(1.5%), 문교·사회용 304,410천㎡(8.8%) 순으로 조사됨
° '15년말 기준, 전국 건축물은 6,986,913동, 면적은 3,534,068천㎡로 전년 대비 건축물 동수는 75,625동(1.1%) 증가하고, 면적은 82,717천㎡(2.4%) 증가하였으며, 용도별로 살펴보면 주거용이 1,654,169천㎡(46.8%)으로 가장 많고, 상업용 722,828천㎡(20.5%), 공업용 365,561천㎡(10.3%), 문교·사회용 309,049천㎡(8.7%) 순으로 조사됨
° '16년말 기준, 전국 건축물은 7,054,733동, 면적은 3,573,625천㎡로 전년 대비 건축물 동수는 67,820동(1.0%) 증가하고, 면적은 135,713천㎡(3.9%) 증가하였으며, 용도별로 살펴보면 주거용이 1,699,314천㎡(47.6%)으로 가장 많고, 상업용 761,415천㎡(21.3%), 공업용 385,174천㎡(10.8%), 문교·사회용 321,401천㎡(9.0%) 순으로 조사됨
° '17년말 기준, 전국 건축물은 7,126,526동, 면적은 3,641,933천㎡로 전년 대비 건축물 동수는 71,793동(1.0%) 증가하고, 면적은 68,308천㎡(1.9%) 증가하였으며, 용도별로 살펴보면 주거용이 1,718,486천㎡(47.6%)으로 가장 많고, 상업용 785,933천㎡(21.3%), 공업용 396,373천㎡(10.8%), 문교·사회용 329,329천㎡(9.0%) 순으로 조사됨
° '18년말 기준, 전국 건축물은 7,191,912동, 면적은 3,754,127천㎡로 전년 대비 건축물 동수는 65,386동(0.9%) 증가하고, 면적은 112,194천㎡(3.1%) 증가하였으며, 용도별로 살펴보면 주거용이 1,772,232천㎡(47.2%)으로 가장 많고, 상업용 814,626천㎡(21.7%), 공업용 401,516천㎡(10.7%), 문교·사회용 339,360천㎡(9.0%) 순으로 조사됨
° '19년말 기준, 전국 건축물은 7,243,472동, 면적은 3,860,871천㎡로 전년 대비 건축물 동수는 51,560동(0.7%) 증가하고, 면적은 106,743천㎡(2.8%) 증가하였으며, 용도별로 살펴보면 주거용이 1,817,390천㎡(47.1%)으로 가장 많고, 상업용 839,976천㎡(21.8%), 공업용 413,999천㎡(10.7%), 문교·사회용 346,463천㎡(9.0%) 순으로 조사됨
° '20년말 기준, 전국 건축물의 동수는 전년대비 31,794동(0.4%), 연면적은 101,016천㎡(2.6%) 증가하여 7,275,266동이며 3,961,887천㎡로 조사됨. 용도별로 살펴보면, 상업용 건축물의 연면적은 전년대비 3.7% 증가한 871,349천㎡(22.0%), 공업용은 2.3% 증가한 423,713천㎡(10.7%), 문화·사회용은 2.2% 증가한 354,196천㎡(8.9%), 주거용은 1.9% 증가한 1,852,349천㎡(46.8%) 로 조사됨
° '21년말 기준, 전국 건축물의 동수는 작년보다 38,998동(전년 대비 0.5%)이 증가한 7,314,264동이며, 연면적은 작년보다 94,355천㎡(전년 대비 2.4%)이 증가한 4,056,243천㎡로 조사됨. 용도별로 살펴보면, 주거용(46.4%, 1,882,918㎡), 상업용(22.1%, 894,675㎡) 건축물의 비율이 가장 높으며, 전년 대비 증가율이 높은 용도는 문교사회용(3.7%, 13,216천㎡), 기타용(3.3%, 15,115천㎡), 공업용(2.9%, 12,127천㎡), 상업용(2.7%, 23,326천㎡), 주거용(1.7%, 30,569천㎡) 순으로 조사됨
° '22년말 기준, 전국 건축물의 동수는 작년보다 40,076동(전년 대비 0.5%)이 증가한 7,354,340동이며, 연면적은 작년보다 75,097천㎡(전년 대비 1.9%)이 증가한 4,131,340천㎡로 조사됨. 용도별로 살펴보면, 주거용(46.3%, 1,913,003천㎡), 상업용(22.1%, 915,040천㎡) 건축물의 비율이 가장 높으며, 전년 대비 증가율은 공업용(2.9%, 12,575천㎡), 상업용(2.3%, 20,364천㎡)이 높게 나타남
° '23년말 기준, 전국 건축물의 동수는 작년보다 36,744동(전년 대비 0.5%)이 증가한 7,391,084동이며, 연면적은 작년보다 96,320천㎡(전년 대비 2.3%)이 증가한 4,227,660천㎡로 조사됨. 용도별로 살펴보면, 주거용(46.1%, 1,950,556천㎡), 싱업용(22.1%, 934,688천㎡) 건축물의 비율이 가장 높으며, 전년 대비 증가율은 공업용(3.7%, 16,731천㎡), 교육 및 사회용(2.2%, 8,208천㎡)이 높게 나타남
° '24년말 기준, 전국 건축물의 동수는 작년보다 30,519동(전년 대비 0.4%)이 증가한 7,421,603동이며, 연면적은 작년보다 87,327천㎡(전년 대비 2.1%)이 증가한 4,314,987천㎡로 조사됨. 용도별로 살펴보면, 주거용(46.1%, 1,987,147천㎡), 싱업용(22.1%, 955,248천㎡) 건축물의 비율이 가장 높으며, 전년 대비 증가율은 공업용(2.7%, 12,522천㎡), 상업용(2.2%, 20,559천㎡)이 높게 나타남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건축물 현황통계 참조
유의사항
o 한 건물에 여러 용도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각 층별 용도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용도를 대표용도로 선정하여 동수를 집계하고, 연면적은 각 층별 용도를 구분하여 집계
o 무허가 건축물은 대상에 포함되지 않음
o 건축물현황 통계의 신뢰성 제고를 위해서는 각 시군구에서 관리중인 ‘건축물대장’의 원천 기본정보의 정비가 추가적으로 필요(실사 등을 통한 정비가 필요)
- 건축물대장의 변천 : 가옥과세대장(1968) → 건축물관리대장(1976) → 건축물대장(1992~현재 : 항목 증가 21개 → 56개)
- ‘92년 이전 건축물대장의 경우 항목변경으로 필수 입력항목에 누락되거나 잘못 기재된 정보가 많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