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동 지표는 홍수조절 및 용수공급관리 정책수립의 기초자료임 - 저수량(저수율)은 유입량에 따른 방류량 조절 등 댐 운영의 결과로서, - 여름철에 집중되는 우리나라 강우특성을 고려해, 홍수기 중 강우로 댐에 유입되는 물을 최대한 저류(유입량>방류량)함으로써 하류 홍수피해를 최소화 하고 내년도 홍수기 전까지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도모할 수 있음 * 유입량 : 댐 유역의 강우 등에 따라 댐으로 들어오는 물의 양 * 방류량 : 홍수조절, 하천수질·생태 유지, 안정적 용수공급 등을 포함한 물의 양
지표해석
■ 추이 분석
ㅇ 연도별 댐유역 강수량은 2000년後 큰 폭으로 변동하는 등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예방과 용수확보를 위한 물관리 중요도 증가 * ‘00년後 댐유역 연간 강수량 : 최저 '15년 925mm , 최대 '03년 1,829mm
ㅇ 평균저수량 및 저수율
* '22년 예년대비 적은 강수량(다목적댐 90%, 용수댐 74%수준)으로 인한 저수량 감소
■ 미래예측 및 향후정책방향
ㅇ 자연현상에 따른 저수량 변동 지속 및 지역적 편차 심화로 홍수조절 및 용수공급 관리에 고충 예상 ㅇ 기존 댐의 최적 운영을 통한 수자원 관리 및 이용 효율성 강화 정책 시행
■ 시사점
ㅇ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가뭄과 홍수의 발생 규모·빈도는 갈수록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인한 국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관계기관과의 긴밀한 협력 필요
유의사항
o 강수량은 다목적댐 유역(전체 남한 면적의 23%)의 값을 반영한 것으로써, 최근의 지역별 집중호우를 감안할 때 전국 평균강수량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