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수사용량 급증에 따른 상수도시설 확충으로 광역상수도 및 공업용수도 시설용량은 '96년 이후 최근 10여 년간 약 1.6배 증가하였고, 용수사용량은 '97년 외환위기 이후 각종 개발계획 유보 등 경기침체로 인해 '04년까지 소폭 감소 또는 정체를 보이다가 '05년부터 점차 증가하고 있음
- 이에 '97년 89.8%이던 광역상수도 가동률은 '98년부터 급격히 감소하어 '04년에 57.2%까지 낮아졌으나, 이후 경기회복 및 물 사용량 증가로 인해 '05년부터 증가 추세에 있음
- 장래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물 부족에 대비하여 한정된 수자원을 절약하기 위한 정부의 지속적인 물수요관리정책 추진 등으로 인해 용수수요량 및 광역상수도 가동률의 증가 추세는 둔화되고 있음
ㅇ 정부에서는 용수수요 예측 및 공급방안 등에 대하여 지자체 등 관련기관과의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하여 광역상수도와 지방상수도간의 중복투자를 방지하는 등 합리적인 수도시설 계획 및 운영을 도모하고 있음
- 환경부는 상수도시설 계획 수립시 합리적인 용수수요량 예측을 통한 적정 규모의 상수도시설 확충 및 운영을 위해「상수도 수요량 예측 업무편람(22.1, 환경부)」을 개정, 발간하여 활용하고 있음
■ 국제간 비교
ㅇ '20년기준 가동률은 일본(동경) 및 미국(덴버시) 보다는 높은 수준임
관련용어
시설용량 : 하루 동안 최대로 공급할 수 있는 용량
일 최대생산량 : 년간 공급량중 하루 동안 최대로 생산한 용량
가동률 : 일 최대생산량을 시설용량으로 나눈 백분율 : 가동률(%) = (일 최대생산량 / 시설용량) ×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