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중소제조업 인력현황 0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 지표 개념

ㅇ 3년 평균 매출액 5억원 초과 ~ 최대 1,500억원 이하인 중소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중소기업의 인력현황 및 부족률을 조사
- 중소제조업체 모집단 182,750개 중 8,000개 업체 표본조사

■ 지표 의의

° 중소기업의 인력현황을 종합적으로 조사하여 산업인력 양성 및 중소기업 인력정책 수립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 인력현황, 부족인원 및 인력부족률 정보제공
- 첨부한 관련파일 자료를 통해 인력부족현상 타개 대책, 인력충원방법, 교육훈련 실태,
여성 및 외국근로자 관련사항, 인력지원정책 활용실적 및 효과 정보제공


지표해석

■ 중소제조업 인력 추이('23년 기준)

° '23년 중소제조업의 '인력부족률'은 1.79%로 나타남
- (직종별) '판매ㆍ마케팅직' 인력부족률이 3.80%로 가장 높았으며, '기타종사자' 인력부족률은 0.96%로 가장 낮게 나타남
- (규모별) 중기업의 전체 인력부족률은 0.68%로 소기업(2.30%) 대비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기타 종사자를 제외한 모든 직종에서
소기업의 인력부족률이 중기업보다 높게 나타남


유의사항

ㅇ 매년 말을 기준으로 5억원 초과하는 중소기업체 7,500개의 표본조사 결과를 모수추정한 것으로, 비율분석에는 유용하나 절대규모로 활용하는데는 다소 제약을 가짐
ㅇ '16년 기준 조사부터는 변경된 중소기업 기준(종사자수→3년 평균 매출액)을 반영하여 시계열이 단절되었음에 유의


관련용어

부족인원 : 현재 시점에서 회사가 외부 수요(주문)에 부응하기 위해 충원이 필요한 인원(정규직, 비정규직 포함)

인력부족률 : 인력부족률 = 부족인원/(현인원+부족인원)

전문가 : 높은 전문지식과 경험을 기초로 연구.개발 및 개선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가(대졸 이상 학력으로 전공과 일치하는 업무 종사 또는 이와 동등한 전문 지식.경험 보유자)

기술직 및 준전문가 : 기술적 지식과 경험을 기초로 전문가의 지휘 하에서 기술적 업무에 종사하는 자(전문대학 졸업 이상 학력으로 전공과 일치하는 업무 종사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 보유자)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중소벤처기업부, 전략분석개발과, 044-204-7468

최근 갱신일 :   2025-01-02(입력예정일 : 2025-12-31)

자료 출처 :   『중소기업실태조사』

공표 주기 :   1년

정책정보

주요정책자료
번호 제목 등록일
등록된 정책 자료가 없습니다.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