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철강산업 동향 8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 철강산업동향 지표개념

° 철강산업동향 통계는 철강재의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산출한 통계로, 1년동안 철강재를 국내에 공급(생산, 수입)한 양과 수요(명목소비, 수출)되는 양을 나타냄

■ 철강산업동향 의의 및 활용도

° 철강산업은 자동차, 조선, 기계, 건설 등 국내 대부분의 산업에 철강 원자재를 공급하는 산업으로 철강산업 동향 지표를 통해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국내 수요산업의 철강재 사용 및 생산활동 규모를 가늠할수 있음
* 통계표상의 수치는 백만톤단위 국내 철강재 생산, 소비 등을 나타냄


지표해석

■ 철강산업동향 분석

<공급>
ㅇ 23년 생산
- 국내외 내수 정체 영향으로 '23년 생산량 69.9백만톤 (전년비 +2.9%)

ㅇ 23년 수입
- 저가 중국산 물량 중심으로 수입 증가하며 전년비 10.2% 증가한 15.5백만톤

ㅇ23년 내수
- 최근 건설산업 침체가 지속되며 봉형강류 중심 감소세, '23년 5.24백만톤(전년비 +2.2%)

ㅇ 23년 수출
- 내수부진 수출로 만회하기 위해 27.3백만톤 (전년비 +6.5%)으로 소폭 증가



<전망>
ㅇ24년 공급
- 국내외 내수 부진에도 불구하고 수출량 증가세에 힘입어 생산량은 전년비 소폭 증가 전망, 반면 저가 중국산 수입 증가에도 불구하고
내수 부진으로 전체 수입은 전년비 소폭 감소 전망

ㅇ24년 수요
- 하반기 건설 등 일부 수요산업 회복이 전망되나 상반기 부진을 만회하는 수준에 그쳐 전체 내수는 전년비 소폭 감소 전망, 내수 부진 만
회 위해 수출량은 증가세에 있으나 글로벌 철강경기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며 전체 수출은 전년비 소폭 감소에 그칠 전망


관련용어

명목소비 : 철강분야 통계작업시 사용되는 통계용어로 내수와 재고를 합한 양 - 즉, 국내에서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양과 향후 수요에 대비해서 생산업체 및 유통업체 등에서 보유하고 있는 양을 합한 양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산업통상자원부, 철강세라믹과, 044-203-4698

최근 갱신일 :   2024-08-21(입력예정일 : 2025-08-19)

자료 출처 :   각사 및 관세청, 철강협회

공표 주기 :   1년

정책정보

주요정책자료
번호 제목 등록일
1 최종_2016 철강주요지표.hwp 2016-09-29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