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주요 원자재 가격 동향(석유화학분야) 45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 석유화학산업분야 원자재 가격 지표개념 및 활용도

ㅇ 석유화학분야 원자재 가격은 석유화학산업의 핵심 원료인 납사(나프타)와
석유화학제품 기초원료인 에틸렌, 프로필렌, 대표적인 합성수지 제품인
고밀도폴리에틸렌(HEPE), 폴리프로필렌(PP) 가격을 지표로 함

ㅇ 원유를 증류해 얻은 나프타(납사)를 분해해 에틸렌을 생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만든 합성수지, 합섬원료, 합성고무 등의 다양한 제품은
자동차, 섬유, 가전, 건설 등 수요산업의 기초 원자재로 사용되어 석유화학 시황 파악 및 원자재 구매시 참고하고 있음


지표해석

■ 석유화학산업분야 원자재 가격 지표해석

ㅇ 납사 및 석유화학제품 가격은 기본적으로 유가에 연동되어 유가 하락/상승분이 납사와 제품에 연쇄적으로 전가되는 구조이나,
해당 제품의 수급 상황(밸런스)에 따라 가격 등락이 최종 결정됨 (* 제품별로 가격 전가율 및 탄력성 상이)

ㅇ 2018년 가격 동향
- 국제 유가(Dubai)는 전년 대비 30.77% 상승한 $69.43/Bbl 기록
- 납사 가격은 전년 대비 23.9% 상승한 $616/MT 기록
- 에틸렌 가격은 전년 대비 4.69% 상승한 $1,250/MT 기록
→ 유가는 미국의 이란 제재 재개와 베네수엘라 정치 불안에 의한 원유생산 감소, 3.2% 수준의 견조한 세계경제 성장에 의한 견조한 석유수요 증가,
OPEC의 유가 상승을 위한 감산정책 미국 원유수송 인프라 한계로 셰일오일 생산량 제한 등의 영향으로 가격 상승
→ 에틸렌 가격은 수요와 공급간 적정한 수준의 신증설에 의한 타이트한 시황,
세계 경제지표 호조에 의한 견조한 수준의 수요, 다운스트림 제품 시황 강세의 영향으로 가격 상승

ㅇ 2019년 가격 동향
- 국제 유가(Dubai)는 전년 대비 8.41% 하락한 $63.59/Bbl 기록
- 납사 가격은 전년 대비 14.6% 하락한 $616/MT 기록
- 에틸렌 가격은 전년 대비 28.6% 하락한 $892/MT 기록
→ 유가는 OPEC의 예상을 뛰어넘는 감산 준수, 이란의 호르무즈해협 봉쇄 위협, 유조선 피격 사태에 연이은 유조선 나포 사건 등의 수급 불안정과
지정학적 위험 증대에도 불구하고 미-중 무역분쟁의 장기화에 의한 세계경제 침체 우려, 미국의 셰일오일 생산량 증대에 의한 원유 순수출국 전환 등의 영향으로 가격 하락
→ 에틸렌 가격은 미중 무역분쟁에 의한 전방산업 제품 수요감소, 미국의 저렴한 셰일가스 기반 설비(ECC) 제품 역내 유입, 수요를 상회하는
과도한 생산설비 증설, 중국의 자급률 상승 등의 영향으로 가격 하락

ㅇ 2020년 가격 동향
- 국제 유가(Dubai)는 전년 대비 33.5% 하락한 $42.29/Bbl 기록
- 납사 가격은 전년 대비 27.5% 하락한 $382/MT 기록
- 에틸렌 가격은 전년 대비 15.8% 하락한 $751/MT 기록
→ 유가는 OPEC의 대규모 감산 합의 및 성실 이행, 미국의 이란 핵개발 제재 강화, 중동 원유 정제시설 드론 공격 등의 수급 불안정과 지정학적 위험 증대에도 불구하고 연초 러시아-사우디아라비아 유가 합의 실패, 코로나 19 대유행에 기인한 전례 없는 석유수요 붕괴 등의 영향으로 가격 하락
→ 에틸렌 가격은 위생 요구 증대 및 비대면 소비활동 고착화에 따른 신규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유가 하락,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기침체, 중국의 대규모 신규 설비 증설에 따른
자급률 상승 등의 영향으로 가격 하락

ㅇ 2021년 가격 동향
- 국제 유가(Dubai)는 전년 대비 62.7% 상승한 $69.03/Bbl 기록
- 납사 가격은 전년 대비 68.3% 상승한 $644/MT 기록
- 에틸렌 가격은 전년 대비 39.7% 상승한 $1,045/MT 기록
→ 유가는 상반기 코로나19로 감소했던 석유 수요가 회복되는 가운데 사우디를 비롯한 OPEC 회원국과 러시아 등 감산 참여국들(OPEC+)이 강력한 감산정책을 이행하여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며 빠른 상승세를 보였으나, 델타, 오미크론 변이 발생 등 불확실성 증대와 OPEC의 매월 일평균 40만 배럴 증산 방침 유지 등의 영향으로 하반기 상승세 둔화
→ 에틸렌 가격은 상반기 코로나19로 인해 신규 증설이 3~4개월 지연되고, 폭설과 한파 등 자연재해로 미국 최대 석유화학 단지가 수개월간 가동을 멈추는 등의 돌발 변수에 따른
공급 감소와 글로벌 백신 접종률 증가 및 주요국 경기 부양책 시행에 따른 수요 증가로 시황 호조를 보였으나, 하반기 수요대비 과도한 생산 설비 증설과 오미크론 발생에 따른 전방
산업 위축으로 상승세 둔화


유의사항

ㅇ 동 자료는 저작권이 있는 해외 자료를 가공한 것으로써 홈페이지에 있는 정보 외 제공이 불가함

관련용어

C&F(Cost & Freight) : 운임비를 포함한 가격
* 상품의 수출원가에 수입항까지의 해상운임을 포함한 가격으로, 수출자는 계약물품의 선적 및 운송계약의 체결 의무를 가짐)

SEA(South East Asia) : 동남아시아

FEA(Far East Asia) : 극동아시아

기타용어 : 한국석유화학협회(KPIA) 홈페이지 참조 : http://www.kpia.or.kr/index.php/pages/view/promotion/dictionary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산업통상자원부, 화학산업팀, 044-203-4936

최근 갱신일 :   2025-04-29(입력예정일 : 2025-07-31)

자료 출처 :   한국화학산업협회(KCIA), 한국석유공사(PETRONET)

공표 주기 :   분기, 연간

정책정보

주요정책자료
번호 제목 등록일
등록된 정책 자료가 없습니다.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