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해외플랜트 수주 동향 10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 플랜트 산업 개념

ㅇ 플랜트란 발전.담수, 정유, 석유화학, 원유 가스처리, 해양설비, 환경설비 시설 등과 같은 산업 기반시설 및 산업기계, 공작 기계, 전기 통신기계 따위의 종합체로서의 생산시설이나 공장을 말함

ㅇ 해외 플랜트 수주액은 해외발주처로부터 국내기업이 수주하는 금액 및 해외플랜트 프로젝트에 플랜트 기자재를 수출하는 실적을 포함한 금액임

ㅇ 국내기업이 해외플랜트를 수주하였다 할지라도 외국 현지인 인건비, 외국의 플랜트 기자재 사용, 외국의 용역 및 엔지니어링 사업, 외국 수주업체에 국내 기자재 납품 등으로 해외플랜트 수주가 곧 수출 실적은 아님

ㅇ 수주액은 전체적으로 연도별 총액과 당해연도 월까지의 실적을 표시하였으며, 주요 지역별로도 분류하여 트랜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

■ 플랜트 수주의 경제적 효과

ㅇ 플랜트 수주는 상세 설계(E), 구매(P), 시공(C) 등이 복합된 산업으로 산업 연관 효과가 높고 산업 구조의 고도화에 기여


ㅇ 플랜트 수주가 후속 기계류 수출 확대로 이어져 중소기자재 업체의 해외 진출을 촉진

- 해외 플랜트 수주 증가에 따라 일반 기계류 수출도 늘어나는 추세


지표해석

■ 해외 플랜트 수주 동향 분석

ㅇ 2024년 해외 플랜트 수주액은 340.7억 불로 전년 302.3억 불 대비 약 12.7% 증가함

ㅇ 이는 2015년(364.7억 불) 이후 9년 만의 최대 실적임

■ 지역별 수주 동향

ㅇ (중동 : 155.2억 불) Oil&Gas, 석유화학 분야 중심 초대형 프로젝트 수주
* 사우디 파딜리 가스 플랜트 증설 프로그램(73.0억 불, 삼성E&A/GS건설)
* 카타르 Facility E 담수 복합 발전소(28.4억 불, 삼성물산) 등

ㅇ (유럽 : 65.8억 불) 동유럽 지역에서의 다수 수주로 전년 대비 250.6% 증가
* 세르비아 태양광 발전소(16.8억 불, 현대엔지니어링) 등

ㅇ (동남아 : 33.9억 불) 전년 대비 79.1% 증가
* 말레이시아 피닉스 바이오 정유 시설(9.5억 불, 삼성E&A) 등


유의사항

소규모 프로젝트의 경우 누락되었을 수도 있음

관련용어

플랜트 : 발전.담수, 정유, 석유화학, 원유?가스처리, 해양설비, 환경설비 시설 등과 같은 산업기반시설 및 산업기계, 공작 기계, 전기 통신기계 따위의 종합체로서의 생산시설이나 공장을 말한다.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산업통상자원부, 통상협력총괄과, 044-203-5688

최근 갱신일 :   2025-04-02(입력예정일 : 2025-05-02)

자료 출처 :   『한국플랜트산업협회』

공표 주기 :   분기

정책정보

주요정책자료
번호 제목 등록일
등록된 정책 자료가 없습니다.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