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조세부담률 4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 조세부담률 및 국민부담률 개념 및 의의

ㅇ 조세부담률{Total tax revenue (excluding social security) as percentage of GDP}
- 경상GDP에서 조세(국세+지방세)가 차지하는 비중으로 특정 국가 국민들의 조세부담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
※ 한국은행 신계열 GDP 기준

ㅇ 국민부담률(Total tax revenue as percentage of GDP)
- 국민부담률*은 경상GDP에서 조세와 사회보장기여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
* 국민부담률 = 조세부담률 + 사회보장부담률
(산 식) (조세/GDP) (사회보장기여금/GDP)

ㅇ OECD는 매년 국가별 국민부담수준을 비교하기 위하여 통계로서 국민부담률을 작성하여 발표

■ 지표의 활용도

ㅇ 특정 국가 국민들의 조세부담 정도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OECD, IMF 등 국제기구 및
국내외 재정학계에서 국가들의 재정 및 경제현황을 비교,분석하기 위한 참고자료로 널리 활용됨


지표해석

■ 국제간 비교

ㅇ 신계열(2020년) 기준, 우리나라의 조세부담률*은 '23년 19.0%(구계열 기준 20.7%), 국민부담률*은 26.9%(구계열 기준 28.9%)으로 OECD 회원국 38개국의 '22년**평균 조세부담률(25.2%) 및 국민부담률(34.0%)에 비해 낮은 수준

* 우리나라의 조세부담률과 국민부담률은 '24.6월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국민계정의 '22년 확정, '23년 잠정GDP기준
** OECD 평균 계산에 사용된 우리나라의 국민부담률은 구계열(기준연도 2015년) 기준임(28.9%)

* 출처:OECD Revenue Statistics('24.11월)


유의사항

o 조세부담률이란 경상GDP에서 조세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하는 것으로 거시적인 지표임
- 따라서 각 개인의 조세부담률은 각자의 소득수준, 소비행태, 재산보유상황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임
o 한국은행 신계열 GDP 기준(기준연도 2020년)


관련용어

조세부담률(=조세/GDP) : 경상GDP에서 세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
- 조세는 국세뿐만 아니라 지방세를 포함하며, 사회보장기여금 등은 포함하지 아니함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기획재정부, 조세분석과, 044-215-4126

최근 갱신일 :   2025-02-03(입력예정일 : 2026-01-31)

자료 출처 :   총국세 실적(국세청, 관세청 징수보고서)지방세 실적 「지방세 통계연감」경상 GDP「한국은행」

공표 주기 :   1년

정책정보

주요정책자료
번호 제목 등록일
등록된 정책 자료가 없습니다.
관련 사이트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