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IMD, WEF 국가경쟁력 순위 9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 IMD 공공재정순위 및 WEF 재정관련순위의 개념

° IMD 국가경쟁력 순위 :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에서는 매년 각 국가의 국가경쟁력을 평가, 발표하고 있으며,
'14년은 총 60개 국가를 대상으로 4개 분야, 20개 부문, 338개 세무항목을 평가

° WEF 국가경쟁력 순위 : WEF은 1979년 이후 매년 각 국가의 국가경쟁력을 평가, 발표(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14년은 총 144개 국가를 대상으로 3대 분야, 12개 부문, 114개 항목을 평가

■ 의의 및 활용상 유의사항

° 국제평가기관의 평가결과를 통하여 현재 우리나라의 재정건전성 정도를 상대적으로 비교 및 파악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

° 수치해석 방법 : 숫자가 낮을 수록 높은 순위를 의미. 단, 시계열상의 지표는 해당년도, 해당 분야의 순위이며, 해마다
대상국가의 수가 바뀌므로 엄밀한 의미에서의 시간적 비교는 곤란함에 유의


지표해석

■ IMD 공공재정순위 및 WEF 재정관련순위 추이

° IMD 공공재정순위 : ('04년)2위 → ('05년)14위 → ('06년)25위 → ('07년)19위 → ('08년)18위 → ('09년)18위→ ('10년)19위
→ ('11년)16위 → ('12년)10위→ ('13년)9위 → ('14년)24위 → ('15년)25위 → ('16년)20위 → ('17년)19위
→ ('18년)22위 → ('19년) 24위 → ('20년) 27위 → ('21년) 26위 → ('22년) 32위 → ('23년) 40위 → ('24년) 38위

° WEF 정부재정수지와 정부부채 순위는 '18년부터 작성 종료되었으며 '18년부터는 공공부문 부채의 지속가능성이
새로운 지표로 편성
다만 WEF는 '20년에는 코로나 스페셜 에디션을 발간, 기존 국가경쟁력지표를 대체하였으며 '21년에는 국가경쟁력 지표를
발표 하지 않았음

■ OECD 주요국가의 WEF 공공부채의 지속가능성 순위 비교

< OECD 주요 국가의 WEF 공공부채 지속가능성 순위 비교 >


유의사항

o IMD, WEF의 국가별 경쟁력 순위는 1~2년 전의 통계수치 바탕으로 작성되므로, 현재 상황과 차이가 날 수 있으며,
o 국가경쟁력 평가 시 설문조사 방법이 사용되므로 응답자의 반응에 따라 실제보다 경쟁력이 과대,
과소평가 될 가능성이 있음


관련용어

IMD :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으로 경제운영 성과, 정부행정 효율, 기업경영 효율, 발전인프라 4개분야 343개 항목을 조사하여 총60개 국가('13년기준)에 대한 경쟁력 현황을 발표

WEF :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으로, 각종 국제기구통계와 업계 지도자들에 대한 여론조사 등을 토대로 기본요인, 효율성 증진, 기업혁신 및 성숙도 3개 분야 111개 항목을 조사하여 총 148개 국가('13년기준)에 대한 국가경쟁력 순위를 발표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 044-215-2813

최근 갱신일 :   2024-07-05(입력예정일 : 2025-07-04)

자료 출처 :   The IMD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IMD), The Global

공표 주기 :   1년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