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협순자본 비율 개념 ° 순자본비율은 신협의 자본적정성을 평가하는 지표로서 은행 bis비율과 유사한 자본규제비율이며 건전경영을 위한 경영지도수단임
■ 신협순자본 비율 활용도
☞ 신협의 건전경영 여부를 가늠하는 주요 지표로 활용됨
■ 수치해석방법 ° 동 비율이 높을수록 손실에 대비한 자본적정성이 양호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감독당국에서는 2%를 기준비율로 설정
지표해석
■ 향후 감독방향
° '09년 이후 지속된 자산성장 및 예대마진 개선 등에 따라 상호금융기관의 자본적정성은 개선되고 있으나, - 리스크관리능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상호금융기관의 과도한 자산성장은 향후 금리상승, 부동산 침체 지속시 건전성 악화 등이 우려되므로, 조기경보시스템을 통하여 여수신변동현황, 연체율 동향 등 주요 리스크 부문을 지속 점검
유의사항
o 신협의 출자금은 환급이 보장되는 등 자본금으로서의 성격이 미약함에 따라 순자본비율 산정시 차감 o 경영지도비율은 순자본비율 2%이상
관련용어
순자본비율 : 신협 내부에 유보된 잉여금과 충당금을 통한 잠재적인 손실의 흡수가능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비율이 높을수록 자본의 적정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