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설명
■ 지표개념
° 외환보유액이란 교환성이 있고 유동성과 시장성이 높은 자산으로 통화당국인 중앙은행과 정부가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는 대외 외화 금융자산을 의미함(IMF 01.9, International Reserves and Foreign Currency Liquidity Guidelines)
- 외환보유액은 한 국가의 대외 지불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외환보유액이 너무 적을 경우에는 대외 채무를 갚지 못하는 모라토리움(moratorium) 상태에 빠질 우려
지표해석
■ 외환보유액 증감추이 분석
ㅇ 2025년 4월말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4,046.7억달러로 전월말(4,096.6억달러) 대비 49.9억달러 감소
-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왑거래(일시적 감소 요인), 분기말 효과 소멸로 인한 금융기관의 외화예수금 감소 등에 기인
* 외환보유액 추이 : ('05)2,104 → ('06)2,390 → ('07)2,622 → ('08)2,012 → ('09)2,700 → ('10)2,916 → ('11)3,064.0 → ('12)3,269.7 → ('13)3,464.6 → ('14)3,635.9 → ('15)3,679.6 → ('16)3,711.0 → ('17)3,892.7 →('18)4,036.9 → ('19)4,088.2 → ('20)4,431.0 → ('21)4,631.2→ ('22)4,231.6 → ('23)4,201.5→ ('24)4,156.0
■ 국제간 비교
ㅇ 2025. 3월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096.6억 달러로, 규모면에서 중국, 일본, 스위스, 인도, 러시아, 대만, 사우디, 독일, 홍콩에 이어 세계 10위 수준
* 출처 : 한국은행 보도자료
** 2025. 4월말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