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습지(갯벌) 면적의 변동 추이 0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 갯벌의 개념
ㅇ 갯벌(Tidalflat)이란 밀물시에는 바닷물로 덮여 있으나 썰물시에는 육지로 드러나는 모래와 펄로 이루어진
평평한 지형을 말하며, 줄여서 갯가(바닷가)의 넓고 평평한 들판이라고도 함
ㅇ 우리나라의 경우 "습지보전법"에 의한 연안습지 대부분이 갯벌이므로 이 둘을 혼용하여 사용
* 연안습지 : 만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으로부터 간조시에 수위선과 접하는 경계선까지의 지역

■ 지표 의의 및 활용도
- (의의) 갯벌은 수산자원을 포함한 다양한 해양생물의 서식지·산란지 이며, 오염정화와 자연재해 저감 능력이
탁월한 생태자원으로 갯벌면적 증감은 건강한 해양생태계의 유지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중 하나임

- (활용) 갯벌면적 현황은 갯벌 보전·관리정책의 수립 및 시행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우리나라
갯벌의 현실 및 갯벌보전정책의 평가기준으로도 활용


지표해석

■전국 갯벌현황 및 변동요인 분석
ㅇ (총괄)우리나라 갯벌면적은 약 2,443.3㎢로 2018년 2,482.0㎢보다 38.69㎢ 감소

ㅇ (지역별) 서해안이 전체 갯벌면적의 약 96.2%인 2.350.98㎢이며, 나머지는 남해안에 분포
- (시·도별) 전남이 약 43.8%, 인천·경기 약 34.2%, 충남 약 13.7%, 전북 약 4.4%, 경남·부산이 약 3.7%, 울산·경북·강원·제주가 약 0.2% 나타남

[갯벌 주변 지역 바닷가 및 수심0~6m 면적조사 결과]
ㅇ 이번 조사에서는 갯벌뿐만 아니라 그 주변지역까지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당초 조사대상인 연안습지(갯벌) 외에 바닷가및 수심0~6m에 대한 면적조사도 함께 수행함


유의사항

o 각 지역별로 수행된 갯벌 매립사업과 같은 인위적인 요인이 갯벌면적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며, 최신자료의 축적 및 측량기술의 발전 등도 복합적으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이나 직접적인 인과관계 분석은 어려움

관련용어

연안 : 연안해역과 연안육역을 말함

1. "연안해역"이라 함은 다음 각목의 지역을 말한다.

가. 바닷가(만조수위선으로부터 지적공부에 등록된 지역까지의 사이를 말한다)
나. 만조수위선으로부터 영해의 외측한계까지의 바다

2. "연안육역"이라 함은 다음 각목의 지역을 말한다.

가. 무인도서
나. 연안해역의 육지쪽 경계선으로부터 500미터(「항만법」에 따른 항만, 「어촌·어항법」에 따른 국가어항 또는 산업입지및개발에관한법률에 의한 산업단지의 경우에는 1천미터) 범위안의 육지지역(하천법 제2조제1항제2호의 규정에 의한 하천구역을 제외한다)으로서 제5조의 규정에 의한 연안통합관리계획에서 정한 지역

습지 : 담수·기수 또는 염수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지역으로서
내륙습지 및 연안습지를 말함

연안습지(갯벌) : 만조 때 수위선과 지면의 경계선으로부터 간조 때 수위선과 지면의 경계선까지의 지역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해양수산부, 해양생태과, 044-200-5311

최근 갱신일 :   2024-07-02(입력예정일 : 2029-07-31)

자료 출처 :   2023 전국갯벌면적조사 결과, 국가승인통계(제123029호)

공표 주기 :   5년

정책정보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