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설명
■ 지표의 개념
- 수송량 : 각 교통수단에 의해 운반되는 여객과 화물의 양을 뜻하며, 일반적으로 인(여객), ton(화물) 등의 단위로 표시
(본 페이지에 수록된 수송량은 1년간 수송량의 합계임)
- 수송분담률 : 여객 또는 화물 각 분야의 총 수송량에서 철도, 공로, 해운, 항공 등 세부 수송부문별 수송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뜻하며, % 단위로 표시
■ 지표의 의의 및 활용도
- 도로, 철도, 공항, 항만 등 교통시설 간의 효율적인 교통체계 구축을 촉진하고 그 이용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종합적인 교통정책의 수립과 평가의 기초 자료임
-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통시설의 공급 목표와 투자의 기본 방향, 교통시설 간의 적정한 수송분담구조 등을 설정하는 국가기간교통망계획, 교통시설 투자계획과 같은 국가 차원의 교통계획 수립에 있어서 현황 및 문제점 진단, 정책목표 설정, 정책효과 진단 등의 기준 지표로 활용됨
■ 수치해석 방법
- 수송량은 해당 수송부문이 1년 동안 수송한 양을 나타내는 절대적인 수치이며, 분담률은 해당 수송부문의 수송량이 전체 수송량 중에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상대적인 수치임
- 본 지표의 수치를 해석할 때는 다음과 같이 부문별로 포함 또는 제외된 수송수단에 유의해야 함
<여객수송량>
ㅇ 공로 여객수송량 : (~'10년) 버스(고속, 시내, 시외, 전세)와 택시의 여객수송량. ('11년~) 버스, 택시 수송량에 승용차수송량도 추가 포함
ㅇ 지하철 여객수송량 : 서울지하철(서울메트로, 서울도시철도공사, 서울메트로9호선), 인천지하철, 부산지하철, 대구지하철, 광주지하철, 대전지하철의 여객수송량
ㅇ 경전철 여객수송량 : 부산~김해 경전철('11년~), 의정부 경전철('12년~), 용인경전철('13년~) 여객 수송량
ㅇ 철도 여객수송량 : 고속철도(KTX), 일반철도(새마을, 무궁화, 통근열차 등), 수도권전철(한국철도공사 관할)의 여객수송량
<화물수송량>
ㅇ 공로 화물수송량 : (~'10년) 영업용 화물자동차의 화물수송량, ('11년~) 영업용 화물자동차의 화물수송량에 비영업용 화물자동차의 화물수송량을 추가 포함
ㅇ 공로 화물수송량 : '15년부터 영업용 화물자동차 통계작성방식 변경(보고통계 → 가공통계)
지표해석
■ 국내여객 수송량 추이
ㆍ 전반적으로 '20년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수단별로 전년 대비 수송량이 큰폭으로 감소하였으나, 승용차는 다른 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소 폭은 적게 나타났음
ㆍ '22년은 코로나-19 이후 모든 수단별 수송량이 회복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공로(승용차) 및 항공 부문의 수송량은 코로나 19 발생 이전 수준으로 회복됨
ㆍ 공로 수송량은 '11년부터 승용차 수송량을 포함한 수치이며, '22년 기준 87.6%로 여객 수송량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ㆍ '22년 기준 철도, 지하철 수송량은 코로나 19 이전의 85% 수준까지 회복되었으며, 해운과 항공 부문 모두 전년 대비 각각 22%, 9.6% 증가하였음
■ 국내화물 수송량 추이
ㆍ 공로 수송량은 '11년부터 비영업용 수송량을 포함한 수치이며, '15년 영업용 수송량 통계 작성변경으로 증가폭이 변화하였음. '22년 기준 92.4%로 화물 수송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ㆍ '22년 기준 철도와 공로는 각각 전년 대비 11.8%, 3.4% 감소, 해운과 항공은 각각 6%, 12% 증가하였음
■ 국제여객 수송량 추이
ㆍ항공 부문은 경제위기 영향으로 '07~'09기간 급격한 감소 추세를 보이다가 '16년에 급증하여 '19년까지 증가하였음
ㆍ해운 부문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다가 '09년 실적이 급감하였으며, '10년 급증 이후 증감을 반복하고 있음
ㆍ '20년은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국제여객 수송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음(전년 대비 항공 -84.2%, 해운 -94.3%)
ㆍ'22년 기준 항공 부문은 전년 대비 507.6% 급증하였음
■ 국제화물 수송량 및 분담률 추이
ㆍ국제화물 수송량은 경제위기 영향으로 '09년 일시적 감소를 제외하고는 '19년까지 증가세를 보였음
ㆍ'22년 수송량은 전년 대비 항공 2.9%, 해운 3.3%가 감소한 상태로, 여전히 코로나 19 이전 수준에는 미치지 못함
ㆍ국제화물은 해운 수송량이 '22년 기준 99.7%를 차지하고 있음
■ 향후 전망 및 정책 방향
ㆍ국내 여객수송에서 철도와 지하철은 전환교통, 지속가능 교통정책의 추진 등으로 인해 시설 투자도 계속되며 수송량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
ㆍ저탄소, 친환경 교통수단을 중심으로 한 교통체계 구축 및 교통체계 효율화를 위한 정책을 지속 추진함
유의사항
o 지하철 부문 여객수송량 및 분담률의 경우 운영기관별 집계에 따른 이중집계의 문제점 해소를 위해, '02년부터 집계방식을 변경하였음
- '16년 한국철도통계 개편결과를 반영함
o 국내여객 수송분담률에 공로의 의미는 버스(고속, 시내, 시외, 전세)와 택시의 합을 의미함
- 단 '11년도부터 승용차 수송량이 포함되어 승용차, 버스(고속, 시내, 시외, 전세), 택시의 합을 말함
o 국내화물 수송실적은 '10년까지 공로는 영업용화물차 통계, '11년부터 비영업용 화물차 통계도 포함
- 공로 영업용 화물차 통계작성방식 변경('17.1. 통계승인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