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교통사고 현황(사망, 부상) 11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 작성목적 및 관련근거
<작성목적>
교통사고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교통안전대책 수립 및 학술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국민에게 교통사고 통계를 제공하기 위한 자료임

< 관련 근거 >
- 도로교통법 제2조에 규정하는 도로에서 차의 교통으로 인하여 발생한 인적피해를 수반하는 경찰에 신고, 접수 처리한 교통사고를 근거로 한 자료임

■ 지표 의의
경제발전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자동차로 인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 되고 있는 교통사고에 대하여 국민에게 교통사고의 심각성과 우리나라가 선진국으로 진입함에 있어 반드시 개선 시켜야 할 문제임을 알려줌

■ 지표 활용도
중앙부처, 각 지방자치단체, 경찰관서에서 교통안전대책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교통사고예방을 위한 각종 학술연구 및 국민의 교통안전의식 제고 활용

■ 연혁
- 1976년 통계법 제3조에 의거 작성 승인
- 1977년 교통사고 통계책자 발간(제 1회)
- 2003년 3월 탐스(TAMS) 프로그램 개발
- 2011년 3월 교통경찰업무관리시스템(TCS)으로 통합
- 2014년 7월 교통사고 통계명칭 변경: 교통사고 발생상황 → 경찰접수 교통사고 현황


지표해석

■ 교통사고 추이

- 1991년을 정점으로 매년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감소, 1996년 12,653(22.6%) 최다 증가율, 2000년
10,236명 2,000년도 이후 최다 사망자, 2004년을 기점으로 반감기에 진입('91년 13,429명→'04년
6,563명)

< 2023년 교통사고 현황 >
- 2023년 교통사고는 사고 198,296건, 사망 2,551명, 부상 283,799명으로 전년대비 사고건수 -0.7%(1,460건),
부상자 0.7%(1,996명) 증가하였고, 사망자는 -6.2%(-184명) 감소하였음

■ 국제비교

- 주요 선진국이 반감기에 접어든 기간이 대체로 20여년이 소요된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13년만에 교통사고 사망자가 절반 이하로 감소



- 꾸준한 교통사고 예방활동 및 국민들의 법규준수의식 향상으로 사망자 감소추세는 이어가고 있으나 OECD 주요 가입국에
비해 여전히 하위권에 위치하고 있어 범국민적인 교통사고 사망자 줄이기 노력이 필요







■ 향후 정책 방향
노인운전 및 개인형이동장치(PM) 등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홍보·교육 강화 필요


유의사항

o 해당사항 없음

관련용어

교통사고 : * 집계 기준 : 차의 교통으로 인하여
도로상에서 발생한 인적피해를
수반하는 경찰에 신고접수 처리한
교통사고 기준

교통사고 사망자 기준 : 교통사고 발생일로 부터 30일 이내에 사망한 경우

중상자 : 3주 이상의 치료를 요하는 부상자

경상자 : 5일 이상 3주 미만의 치료를 요하는 부상자

부상신고 : 5일 미만의 치료를 요하는 부상을 입은 경우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경찰청, 교통안전과 안전계, 02-3150-0645

최근 갱신일 :   2024-10-23(입력예정일 : 2025-10-17)

자료 출처 :   경찰청

공표 주기 :   1년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