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총인구, 인구성장률 16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 총인구, 인구성장률 지표 개념

° 총인구
- 7월 1일 기준의 인구로, 과거에 대한 확정인구 (Population Estimate)와 향후의 인구변동 요인(출생, 사망, 국제이동)을 고려하여 작성한 추계인구(Population Projection)로 구분됨.

° 인구성장률
- 인구성장률은 자연증가율과 사회적 증가율의 합으로 전년대비 인구변화율 및 특정시점에서 비교되는 시점까지의 증가분을 나타내는 지표임.

■ 총인구, 인구성장률 지표 의의 및 활용도

° 한 국가의 인구 및 인구성장률은 그 국가의 장·단기 국가발전 계획수립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고 근원적인 기초자료로서 인구와 관련된 각종 경제·사회 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됨.

■ 수치해석방법

° 인구성장률은 두 시점 간 인구가 몇 % 증가했는지 나타내는 것으로, 아래 수식에 의해 산출됨.
- 인구성장률(%) = ln(Pt/Po)/T*100 [여기서, Pt는 t년도 총인구, T는 비교기간]


지표해석

■ 인구 규모 추이

° 총인구 : 2022년 우리나라 총인구(추계인구)는 5,167만명으로 1960년 2,501만명에 비해 약 2배 증가
° 인구성장률은 2000년 이후 둔화되다가 2021년부터 마이너스로 전환
- 2000년 0.84%, 2020년 0.14%까지 둔화되었으며, 2021년부터 마이너스로 전환, 2072년에는 -1.31% 수준에 도달할 전망임

° 인구규모는 저출산영향으로 2022년 5,167만명에서 감소하여 2072년 3,622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

■ 국제 비교

° 인구가 계속 감소하는 국가는 일본, 이탈리아, 그리스, 스페인 독일등 10개국 이며,
° 인구가 증가 후 감소하는 나라는 멕시코, 튀르키예, 프랑스, 콜롬비아 등 16개국이며,
° 인구가 계속 증가하는 나라는 미국, 캐나다, 호주, 스웨덴, 이스라엘 등 10개국 으로 나타남.

자료 : UN(2022).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22 Revision, 통계청 (2023). 장래인구추계: 2022~2072년


유의사항

* 장래인구추계는 2~3년주기로 작성되며, 현 자료는 2023년에 작성된 자료임.

관련용어

총 인구 : 7월 1일 기준 인구로, 과거에 대한 확정인구 (Population Estimate)와 향후의 인구변동 요인(출생, 사망, 국제이동)을 고려하여 작성한 추계인구(Population Projection)

인구성장률(Population Growth Rate) : 인구성장률은 자연증가율과 사회적 증가율의 합으로 전년대비 인구변화율 및 특정시점에서 비교되는 시점까지의 증가분을 나타내는 지표임. (인구성장률=ln(Pt/P0)/t*100)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통계청, 인구추계팀, 042-481-2262

최근 갱신일 :   2023-12-18(입력예정일 : 2025-12-31)

자료 출처 :   통계청(2023), 「장래인구추계: 2022~2072년」, 중위추계

공표 주기 :   2~3년

연관지표

정책정보

주요정책자료
번호 제목 등록일
1 장래인구추계(2022_2072년)_보도자료.pdf 2023-12-18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