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외공관은 우리나라와 외교관계를 수립한 국가의 수도에 설치하는 대사관, 유엔 .WTO.국제기구에 설치하는 대표부, 재외국민 및 재외동포가 다수 거주하고 있는 국가를 대상으로 영사보호 활동을 위해 설치하는 총영사관으로 구분
- 우리나라의 경우 재외공관은 "대한민국재외공관설치법" 및 "외교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대통령령)"에 근거하여 설치됨.
■ 의의 및 활용
○ 재외공관의 숫자는 외교적관계, 국가경제력, 교역규모, 교민현황 등 국가의 경제력 및 외교수요에 영향을 받음.
지표해석
■ 재외공관 규모/분포 분석
○ 우리나라의 재외공관은 현재 173개에 이르며, 한국외교의 성장과정과 더불어 꾸준히 확장되어 왔음. - 1998년에는 정부조직개혁조치의 일환으로 재외공관 폐쇄 및 통합이 이루어져 145개 공관, 2001년에도 정부구조조정 계획으로 124개 공관으로 재외공관 감축조치가 단행됨 - 2006년이후에는 각국의 에너지 자원 확보 경쟁에 대비하고, 우리 국민 및 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을 확대하며, 재외국민보호 활동을 강화하는 등 외교역량강화를 위해 재외공관망을 확충, 2007년에는 외환위기 이전 수준인 147개로 회복함 - 2008년이후 에너지외교강화, 재외국민보호 및 재외동포 활동지원, 아세안국가와의 협력강화, 자원/신흥국가와의 외교강화 등을 위하여 재외공관을 확충, 2012년에는 해외주재 우리나라의 공관은 162개로 증가함. - 2015년에는 경제외교 강화 및 영사서비스 개선을 위하여 마다가스카르대사관, 알마티총영사관을 설치하고, 2018년이후로 바르셀로나총영사관을 개설함. - 2019년에는 라트비아 대사관, 다낭총영사관을 개설, 2021년 주타지키스탄대사관을 개설함. - 2024년 주룩셈부르크대사관, 주리투아니아대사관, 주에스토니아대사관, 주쿠바대사관, 주슬로베니아대사관 및 주조지아대사관을 개설하여 2024년 11월 기준 173개의 재외공관(대사관, 총영사관, 대표부)을 설치함.
○ 남북한의 재외공관 설치현황 차이는 수교국 현황과 유사한 배경에서 이유를 찾을 수 있음. - 특히 미주지역 및 아주지역에 우리나라의 재외공관 수가 월등히 많은 이유는 미국과 일본 및 중국이 정치, 경제 및 다방면으로 우리나라와 밀접한 관계가 있을뿐 아니라 우리나라 교민이 다수 거주해 있어, 동국가에 대사관과 함께 여러지역에 총영사관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임. - 또한 재외공관의 숫자는 외교적관계, 국가경제력, 교역규모, 교민현황 등에 의존하는 바가 크기 때문에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북한은 많은 수의 재외공관을 유지하기 어려움.
○ 우리나라와 북한의 재외공관 설치현황 비교 - 우리나라는 남북한을 제외한 191개 UN회원국 및 UN비회원국 교황청, 니우에 및 쿡제도와 수교하고 있으며 수교국 194개중 63%정도의 국가(122개국)에 상주대사관을 설치하고 있으며 46개의 총영사관, 5개의 대표부가 있음. ※ 미수교국 : 코소보 타이베이대표부는 통계에서 제외
- 북한은 38개의 상주대사관, 2개의 총영사관 및 3개의 대표부가 있음.
유의사항
o 본 통계는 외교부 직제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직제 반영 후 실제 공관 개설까지는 시일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