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Quick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합계출산율 28

그래프

통계표

~ 조회 행렬전환
~ 조회 행렬전환

의미분석

지표설명

■ 합계출산율(TFR, Total Fertilty Rate) 개념
° 여성 1명이 평생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수를 나타낸 지표로서 출산력 수준을 나타내는 국제적 지표
* 작성근거 : 통계법 제18조 제1항 규정에 의한 지정통계(인구동향조사)

■ 수치해석방법
° 최근 혼인 감소 등 출산에 미치는 요인들의 변화에 따라 '15년 이후 지속 감소하여 '18년 합계출산율은 0.977로 1.0명대 이하로 떨어짐
° 합계출산율이 높을수록 한 여성이 출생하는 자녀수가 많다는 의미


지표해석

■ 합계출산율 추세
° 추이 및 변동요인 분석
- 합계출산율은 출생통계 작성(1970년) 이래 최저치로, 1.0명 이하 감소
- 이와 같은 변동요인으로는 혼인건수가 '10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며 감소폭은 증가하는 경향임

° 2020년 출생통계(확정) 결과 분석
- 2020년 총 출생아 수는 27만 2천 3백 명으로 전년보다 -10.0% 감소
-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0.84명으로 전년(0.92명) 보다 0.08명 감소

■ 향후 전망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2019.3월) 중위추계 결과에 따르면 합계출산율은 지속 감소하다가 '21년 0.86명 최저, 이후 반등하여 증가할 것이라 예상
* 장래 합계출산율(명) : ('20) 0.9 → ('21) 0.86 → ('22) 0.9 → ('23) 0.93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에서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20.12월) 후 추진


관련용어

합계출산율 : 가임여성(15~49세) 1명 평생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나타낸 지표로 연령별 출산율(ASFR)의 총합이며, 출산력 수준을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

연령별 출산율(ASFR) : 1년 간 발생한 모의 연령별(15~49세) 출생아 수를 해당 연령별 여자의 연앙인구(7월 1일 기준)로 나누어 1,000분율로 표시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보건복지부, 인구정책총괄과, 044-202-3372

최근 갱신일 :   2022-12-19(입력예정일 : 2023-10-03)

자료 출처 :   통계청, 『2010년 출생통계(확정), 국가승인통계 제101003호 출생통계』

공표 주기 :   1년

정책정보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