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가족의 형태별 분포 8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 개념

° 가족의 형태를 핵가족, 직계가족 등으로 구분하여 그 분포를 파악하는 지표임

- 핵가족 비율 : 핵가족(부부, 부부+미혼자녀, 한부모+미혼자녀) / 혈연가구

- 직계가족 비율 : 직계가족(부부+양(편)친, 부부+양(편)친+자녀) / 혈연가구

- 기타가족 비율 : 3세대, 4세대, 기타 / 혈연가구


■ 의의 및 활용도

° 가족구조 및 형태의 변화 추이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 핵가족화 및 저출산 현상의 지속으로 가족 규모가 축소되고 가족세대 구성이 단순화됨

° 핵가족화, 맞벌이 가족 증가 등 가족 환경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자녀양육 및 교육지원, 근로자 지원, 가족친화 문화 조성 등 다양한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


지표해석

■ 가족형태 변화 추이

° '20년 기타가족 비율은 '15년에 비해 2%p 증가하였으며, 직계가족 비율은 감소.

° 지난 30년간 핵가족 비중은 증가한 반면, 3대가족 등 직계가족 비중은 감소

- 핵가족비중은 ’70년 71.5%에서 ’20년 80.3%로 증가

- 직계가족은 ’70년 18.8%에서 ’20년 4.7%로 감소

■ 전망 및 향후 정책방향

° 부부와 양친과 자녀로 구성된 직계가족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가 예상되는 반면 가구 분화와 더불어 핵가족 중 부부가족의 비중은 계속 늘어날 전망이며 이에 따라 가족의 형태별 분포도 지속적으로 변화할 전망임

° 부부와 자녀 및 한부모 가족으로 이루어진 핵가족 비중 증가로 가족 내 돌봄기능의 약화가 예상되며

- 이에 따른 가족내 돌봄기능을 보완하는 가족정책 마련 필요

- 또한 다양한 가족을 지원하는 정책 필요



유의사항

o 인구주택총조사 가구는 5년마다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모든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집계한 가구로 주민등록세대, 추계가구와는 다소 차이가 있음

관련용어

혈연가구 : 일반가구에서 비혈연가구 및 1인가구를 제외한 가구수임

핵가족 : 부부만의 가족이나 부부와 미혼자녀로 구성된 가족 또는 편부(모)와 미혼자녀로 구성된 가족

직계가족 : 부부와 양친(또는 편친)으로 구성된 가족이나 부부와 양친(또는 편친), 자녀로 구성된 가족

기타가족 : 위의 정의에 해당되지 않는 모든 경우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여성가족부, 가족정책과, 02-2100-6324

최근 갱신일 :   2022-05-02(입력예정일 : 2027-04-29)

자료 출처 :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2020년 가족실태조사』

공표 주기 :   5년

연관지표

정책정보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