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교육수준(학력별 인구분포) 1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 학력별 인구분포 개념 및 의의

° 학력별 인구 분포

- 25-64세 성인인구 중 학력(중졸이하/고졸/고등교육이상으로 구분)별 인구 비율로 고등교육 비율이 높을수록 인구 중 고등교육 이수자가 많은 것을 의미함.

☞ 전체 인구의 교육수준을 알 수 있는 지표이며, 인적자원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됨.

* 취업자 : 자료를 조사한 시점의 일주일동안

가. 보수(임금근로자)나 수익(자영업자 및 무급가족종사자)을 위해 최소 1시간 이상 일을 한 사람.

나. 직장이 있지만 일시적으로(부상, 질병, 휴일, 파업 및 직장폐쇄, 교육훈련으로 인한 휴가,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등) 일을 하고 있지 않은 사람.

(*출처 : 2024 OECD 교육지표)


지표해석

■ 학력별 인구분포 추이

° 우리나라 국민의 학력수준은 25-64세 성인인구 중 고졸이상 학력자는 93%, 고등교육 이수자는 55%를 차지(‘23년)

- 고졸이상 학력자 추이: ('95) 60% → ('00) 68% → ('05) 76% → ('10) 80% → ('12) 82% → ('15) 85% → ('16) 87% → ('17) 88% → ('18) 88% → (`19) 89% → (`20) 89% → (`21) 90% → (`22) 91% → (`23) 93%

- 고등교육 이수자 추이: ('95) 18% → ('00) 24% → ('05) 32% → ('10) 40% → ('12) 41% → ('15) 45% → ('16) 47% → ('17) 48% → ('18) 49% → (`19) 50% → (`20) 51% → (`21) 52% → (`22) 53% → (`23) 55%

° 이수율이 증가하는 것은 사람들이 교육에 더 오래 머무르고 있다는 것과 정책적 노력으로 중도탈락이나 교육에서의 형평성 결여와 같은 문제들을 다루는 데 성공적이었음을 시사함.


■ 학력별 인적자원 활용도


【교육수준별 성인인구(25세~64세)의 고용률(2023)】


주 1) 고용률=(25-64세 취업자/25-64세 인구)*100
주 2) 일본의 고등교육은 후기중등교육 또는 중등후 비고등교육을 포함함.(성인의 5%미만이 해당)
주 3) 영국의 후기중등교육은 중급 후기중등교육 이수로 분류될 수 있는 충분한 양과 표준 프로그램 이수를 포함함. (25-64세 성인의 11%가 해당)


유의사항

o 조사대상은 최종학력별 25세에서 64세의 연령 인구임.

관련용어

국민 교육수준 : 국제교육표준분류에 따라 25-64세 연령 인구의 특정 교육수준 이수 비율을 나타냄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교육부, 교육데이터담당관실, 043-530-9674

최근 갱신일 :   2025-03-26(입력예정일 : 2025-12-31)

자료 출처 :   OECD, Education at a Glance(각 연도)

공표 주기 :   1년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