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활동참가율 : 생산가능인구중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의 비중으로 실질임금 등 여러 변수에 의해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경기상황과 같은 방향으로 변동 - 비경제활동인구는 취업자나 실업자로 분류되지 않은 자(학생, 주부, 연로자, 구직단념자, 취업준비자 등)
고용률 : 생산가능인구중 취업자수의 비중으로 한 국가의 노동력 활용 정도를 나타내는 대표적 고용지표로 실업률 통계의 한계를 극복 - 불경기에 구직단념자가 증가하여 실업률을 감소시키는 실망실업자 효과로 인해 실업률은 경제상황 반영에 한계
실업률 : 실업률은 취업을 희망하지만 취업하지 못한 사람들의 비율로서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중 실업자의 비중
- 취업자 : ①조사대상기간(1주)중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자, ②일시휴직자 또는 ③18시간이상 일한 무급가족종사자
- 실업자 : 조사대상기간(1주)중 일하지 않았고, 적극적인 구직활동(지난 4주)을 하였으며, 즉시 취업이 가능한 자
취업자 증감 : 취업자 증감은 전년 또는 전년동기와 비교하는 것으로 특정기간 동안 일자리의 순증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
구직단념자 : 취업의사와 능력은 있으나 경력이 맞는 일자리가 없는 등 노동시장적 사유로 지난 4주간 구직활동을 하지 않았으나 지난 1년내에는 구직경험이 있었던 자를 의미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고용노동부, 미래고용분석과, 044-202-7255
최근 갱신일 : 2025-04-14(입력예정일 : 2025-05-16)
자료 출처 : 통계청,『경제활동인구조사』
공표 주기 : 매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