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노동조합 조직현황 3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 지표 개념

° 노동조합 조직률 : 조합원수 / 조직대상 근로자 * 100

* 조직대상근로자 : 임금근로자(상용,임시,일용)-노조가입이 금지된 공무원

° 노동조합수 : 단위노조(기업, 지역·업종·산별노조)+연합단체(총연합단체, 산업별연합단체)

■ 지표 의의 및 활용도

° 지표의의 및 활용도 : 노조 조직현황(조직률,노동조합수,조합원수 등)에 대한 통계를 산출하여 향후 노조조직화 경향 등을 예측하고 각종 노동정책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


지표해석

■ 노동조합 조직률 분석

° 노동조합 조직률은 13.1%로 전년 대비 1.1%p 감소

- 전체조합원수는 2,722,484명으로 전년대비 약210천명(7.2%) 감소하고 노조조직대상 근로자가 약 121천명증가


° 노조수는 6,005개소로 전년 대비 15.5%(1,100개소) 감소

° 조합원 수는 2,722천명으로 전년보다 210천명(7.2%) 감소

* 한국노총 : 조합수 2,325개소(38.7%), 조합원수 1,121,819명(41.2%)

* 민주노총 : 조합수 225개소(3.7%), 조합원수 1,099,805명(40.4%)

* 미가맹노조 : 조합수 3,424개소(56.2%), 조합원수 482,582명(17.7%)

* 한장노총: 조합수 7개소(0.1%), 조합원수 11,222명(0.4%)

* 전국노총 : 조합수 24개소(0.3%), 조합원수 3,792명(0.1%)

* 대한노총 : 조합수 7개소(0.1%), 조합원수 3,264명(0.1%)


■ 노동조합 조직률 변화추이

° 연도별 노조조직률은 1989년을 정점으로 지속적인 하락 추세를 보여 '10년에 최초로 한 자리수인 9.8%를

기록한 이래 '11년에 복수노조제도 시행 등의 영향으로 다시 10%대로 회복되었고, '21년에는 14.2%까지 증가하였다가, 해산소멸노조등의 증가로 '22년에는 13.1%로 하락


■ 국제간 비교

° ’22년말 노조 조직률은 13.1%로 전년대비 1.1%p 하락

< 노조조직률 국제비교 >(단위%)
미국: 10.1 영국: 22.3 일본: 16.5 대만: 33.4


유의사항

o 노동조합 수는 노동조합 설립신고 단위를 기준으로 산정한 것이므로 수 개 기업 소속 근로자로 구성된 초기업 노조(산업별.직종별.지역별 노조 등)의 경우에도 ‘1개소’로 산정되었음을 감안할 때 노동조합이 조직되어 있는 기업 수는 노동조합 수 보다 더 많음

관련용어

노동조합 조직률 : 전체 임금근로자수 대비 노동조합원 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

임금근로자수 : 상시근로자와 일용근로자를 합한 숫자를 의미
- 공무원은 제외(공무원은 2006.1월부터 노조설립 가능)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고용노동부, 노사관계법제과, 044-202-7610

최근 갱신일 :   2025-04-04(입력예정일 : 2025-12-31)

자료 출처 :   고용노동부 『전국 노동조합 조직현황』

공표 주기 :   1년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