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룹

위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인구 천명당 주택수 1

그래프

기간선택 ~ 조회
기간선택 ~ 조회

통계표

~ 조회
~ 조회

의미분석

지표설명

■ 인구천명당 주택수 개념

° 인구 천명당 주택수는 주택보급률과 같이 주택보급의 양적지표이나, 가구가 아닌 인별로 주택보급을 측정

■ 인구천명당 주택수 의의 및 활용도

° 가구수보다는 인구수 측정이 용이하므로 주택보급률에 비해 주택의 양적수급 여건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 가능함.


지표해석

■ 인구천명당 주택수 추이

° 인구 천명당 주택수가 '10년 356.8호였으며 '15년에는 383.0호, '17년은 395.0호, '18년은 403.2호, '19년은 411.6호, '20년은 418.2호, '21년은 423.6호, '22년은 430.2호, '23년은 437.0호 로 지속적으로 증가함
- '23년도 총인구수는 5,177만명으로 '22년(5,169만명)에 비해 8만명 증가
- '23년도 총주택수는 2,262만호로 '22년(2,224만호)에 비해 38만호 증가
* '05년부터는 주택수 산정시 다가구주택을 구분거처로 반영(호수를 기준으로 함), '10년부터는 등록센서스 기준
(이전에는 다가구주택을 소유개념으로 파악하여 구분거처로 반영하지 않고 동수를 기준으로 집계함으로서 주택의 양적문제를 현실에 맞게 설명할 수 없다는 지적에 따라 다가구주택을 구분거처로 반영하여 호수를 기준으로 집계
* 시도별 자세한 사항은 국토교통통계누리(https://stat.molit.go.kr) 참조

■ 향후 전망

° '24년 지속적인 주택 공급으로 천인당 주택수도 증가 예상


유의사항

o 인구 천명당 주택수는 주택보급률과 같이 주택보급의 양적지표이나, 가구가 아닌 인별로 주택보급을 측정하고, 주택재고의 절대부족문제가 해결된 선진국에서는 주택보급률을 지속적인 정책지표로 사용하지 않고 분석목적 및 대상에 따라 국지적, 부분적, 간헐적인 주택보급률을 계산하여 활용하고 있음

관련용어

산정방식 : 주택수 × 1,000/인구수

주택수 : 인구주택총조사결과를 기준으로 빈집을 포함한 주택수 산정(다가구 구분거처 반영)

인구수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활용

지표정보

담당 부서 및 연락처 :   국토교통부, 주택정책과, 044-201-4148

최근 갱신일 :   2025-01-03(입력예정일 : 2025-12-31)

자료 출처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10101, 10102

공표 주기 :   1년

의견 및 질문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

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 (한글 50자 이내)

  • 0

0/50 평가하기

평가자 정보

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참여마당 > 질문과 답변(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여 주세요.